[특집] 불교 미디어 어디까지 와 있나

미디어 혁명시대의 불교계 미디어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2018-12-24     유윤정

미디어 혁명 시대의 불교미디어 무엇을 할 것인가

미디어 환경이 혁명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경계와 영역은 허물어진 지 오래다. 신문과 방송, 잡지 등의 전통적 미디어의 위축은 갈수록 심화된다. 디지털미디 어와 영상미디어의 발전 속도는 놀라울 정도로 빠르다. 플랫폼이 콘텐츠를 압 도 하는 것도 하나의 트렌드가 됐다. 유튜브는 기존 검색포털을 따돌리고 콘텐 츠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됐다. 이번 기획은 전법과 신행의 가장 중요한 토대 중 하나인 불교미디어의 갈 길을 묻는다. 미디어 혁명의 시대, 불교미디어는 어디로 갈 것인가?

01  특별좌담: 미디어 혁명과 불교  / 서재영, 유병탁, 윤호우, 정재민
02  불교미디어는 어디쯤 와 있나 / 유윤정
03  출판과 언론의 경계를 허무는 스리체어스  / 유윤정
04  해외 불교미디어 현황 /  김우진
05  융합미디어를 위한 동국미디어센터의 실험 / 김우진

뉴스와 콘텐츠를 접하는 방식이 바뀌고 있다. 신문이나 지상파 방송,케이블텔레비전,책등레거시Legacy 미디어(전통미디어)를보 는 시간보다 모바일, PC 등 온라인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는 시간 이 늘고 있는 추세다. 미디어 콘텐츠 소비 방식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레거시 미디어와 뉴미디어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 콘텐 츠를 수용하는 소비자들의 태도는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융합미 디어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기성 미디어들의 변화 속도는 더 디기만 하다. 불교계 미디어는 이런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격변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 불교미디어의 대응은 어떤지 들여다봤다.

 

| 불교계의 스노우폴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 께 정보의 유통방식이 혁명적으로 바뀌고 있다. 스마트폰은 이미 모든 기성 미디어를 대체하는 수 단으로 떠오른지 오래다. 스마트폰과 원활한 통신 환경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사진, 글,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의 콘텐츠를 만들어 공유할 수 있다. 넘쳐 흐르는 정보의 물결에서 ‘정보’는 이제 ‘발견 되지 않고 연결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어버렸다.

기성미디어의 변화는 서구에서 먼저 시작됐다. 텍스트와 사진이 중심이었던 뉴스콘텐츠가 멀티미디어와 컴퓨터그래픽, 가상현실 기술로 무장하기 시작했다. 2012년, 전 세계 뉴스 시장에 파란을 일으켰던 뉴욕타임스의 온라인 기사 ‘스노우폴 snowfall’은 현대 저널리즘에 있어 하나의 이정표가 되었다. ‘스노우폴’ 이후, 국가를 막론하고 앞 다 퉈 ‘스노우폴’ 류의 인터랙티브interactive 기사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경향신문 ‘랭면의 취향’, 동아일 보 ‘드론이 바꾸는 세상’, 조선일보 ‘와글와글 합창단’, 한겨레21 ‘핵아시아’가 물꼬를 텄다. 그 뒤를 매일경제, 아시아경제, 한국경제, 한국일보 등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인터랙티브 기사가 이었다. 국내 유수 언론매체들은 온라인 저널리즘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디지털 뉴스룸을 갖추고 대응을 시작했다. 경향신문 ‘향이네’, 국민일보 ‘왱’, 조선일 보 ‘조선이보’, 한국경제 ‘뉴스래빗’, 한국일보 ‘동 그람이’ 등을 운영하고 있다.

방송사들 역시 변화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버티컬Vertical 브랜드를 만들어 기존에 다루지 않던 소재의 콘텐츠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SNS 플랫폼을 이용한 콘텐츠들이 쏟아 내고 있다. SBS의 ‘스브스뉴스’, ‘비디오머그’, ‘모비딕’이나 KBS의 ‘고봉순’, JTBC의 ‘소셜스토리’, ‘JTBC뉴스룸 팩트체크’ 등이 그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불교계 미디어들의 움직임은 어떨까. 결론적으로 보면 아직 불교 미디어의 대응은 미진하다.

우선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의 뉴스와 콘텐츠 활용 속도가 더디다. 기존의 TV·라디오, 신문, 출판 등이 여러 채널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지만, 적응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방송프로그램이나 뉴스콘텐츠의 보 조적 채널로써만 활용하고 있을 뿐이다. 교계 신문들은 종이신문 발행에 앞서 속보성 뉴스를 홈페이지나 협약이 이뤄진 검색포탈에 공급하는 정도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걸맞는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전담할 디지털뉴스룸 구축 투자는 뒤따르지 않는다. 쌍방향 소통을 위한 인력육성, 새로운 콘텐츠 포맷 개발은 미미한 수준이다. 불교계 미디어 중 그나마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고 있는 것은 불교텔레비전(이하 BTN)이다. 케이블TV에서 시작해 종합미디어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 BTN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라디오 방송 ‘울림’에 법문, 불교음악, 독경채널을 만들어 온라인 환경의 미디어를 개척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미디어도 있다. 정목 스님이 운영하는 ‘유나 방송’이 대표적이다. 정목 스님은 BBS불교방송과 BTN에서 방송진행자로서의 경력을 발판으로 활발한 팟캐스트 활동을 벌이고 있다. 종단 차원의 움직임 역시 더디기는 마찬가지다. 조계종 포교원이 지난 3월 ‘뉴미디어 포교방 법론,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포교종책연 찬회를 진행하며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아직은 역부족인 상태다.

 

| 뉴미디어에 대응하는 불교 레거시 미디어

2017년 한국인 세대별 오래 사용하는 앱 통계(백 만 시간 기준/와이즈앱 한국 안드로이드 분석)에 따르면 50대이상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카카오톡과 유튜브로 나타나고 있다. 연령대 구분없이 살펴보면 유튜브의 성장이 압도적이다. 유튜브는 거의 모든 콘텐츠를 빨아들이는 블랙홀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플랫폼은 콘텐츠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지만, 콘텐츠를 담아내고, 제작자들에게 수익을 안겨주는 곳은 유튜브가 거의 유일하다.

뉴미디어 활용에 적극 대응하고 있는 대표적 미디어는 월간지와 단행본 출판에서 콘텐츠 유통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불광미디어다. 불광미디어는 디지털 미디어 확산의 흐름에 발맞춰 2017년 6월 자사 홈페이지를 큐레이션 미디어로 개편하고 잡지 콘텐츠, 출판 콘텐츠, 영상 콘텐츠, 대중강연 콘텐츠, 팟캐스트 콘텐츠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나서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카드뉴스, 붓다빅퀘스천 및 교계 각종 강연 동영상 등 불교 콘텐츠를 홈페이지, 블로그, 페이스북, 네이버 밴드, 카카오 스토리 등 SNS, 유튜브, 팟캐스트 등 다양한 매체로 옮겨 불 자와 만남의 장을 넓히고 있다. 불광미디어의 페이스북 좋아요 수는 1만 3천 명으로, 불교계 레거시 미디어 중에서는 가장 높은 팔로우 수를 유지 하고 있다. 불광미디어가 이처럼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배경에는 융합미디어를 지향하는 전략적 판단에 디지털 전담인력 을 확보해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BBS불교방송도 2015년부터 뉴미디어 TFT 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BBS불교방송은 2017년 통합 앱과 라디오 전용 앱 ‘보리’를 출시해 선보였다. BBS 선상신 사장은 지난 11월초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을 헤쳐나가기 위해 방송계의 관례화된 직종과 영역을 더 이상 구분짓지 말고,TV와 인터넷 뉴스 플랫폼을 통해 차별화된 콘텐츠를 발굴해야 한다”고 직원들에게 주문한 바 있다.

BTN 불교TV는 모바일 전용 라디오 방송국 구축에 이어 구독자 수 3만 8천 명을 자랑하는 유튜브 채널 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교계신문은 출판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추세다. 불교신문은 단행본 출판을 담당할 부서를 신설했고, 법보신문은 출판 브랜드 ‘모과나무’를 통해 신문을 통해 제작된 콘텐츠를 단행본으로 만들고 있다. 현대불교신문은 2016년 ‘연중기획-카드뉴스’를 기획해 운영했으며, 불교포커스 등 일부 언론사는 팟캐스트 콘텐츠를 제작해 자사 홈페이지와 유튜브, 팟빵 등에 서 콘텐츠를 송출한다.

 

| 정토회의 뉴미디어 약진

새로운 미디어에 적응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한 우수한 사례도 있다. ‘정토회’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신문이나 방송미디어를 갖지 못한 정토회는 기성 미디어 대신 소셜미디어와 유튜브 등 다양한 미디어로 대중에게 콘텐츠를 제공한다. 정토회는 법륜 스님이 전국과 전 세계를 돌며 진행하는 즉문즉설 강연회를 콘텐츠로 제작해 적극 활용한다. 강 연의 내용은 정토출판을 통해 단행본으로 출간되고 동영상으로 제작돼 유튜브와 블로그, 오디오 팟캐스트 등으로 재가공을 거쳐 활용된다. 정토회가 2011년 개설한 ‘법륜 스님의 즉문즉설’ 채널은 구독자 수가 37만 명으로 불교계 최대의 채널 이다. 조회 수만 2억7천만 회 이상에 달한다. 현재 1,455개의 동영상 콘텐츠가 올라와 있다. 법륜 스 님의 즉문즉설은 스님들의 법문이 킬러콘텐츠로 사람들을 불교로 인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사례다.

티베트스님들이 전 세계에서 법문과 수행, 출판, 매거진을 통해 영역을 확장하는 방 식과 비슷한 방식이다. 법륜 스님은 2017년 「시사저널」에서 조사한 ‘한국을 움직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가장 영향력있는 종교인’ 중 염수정 추기경, 정진석 추기경에 이어 3 위에 꼽힐 만큼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컨버전스 미디어의 시대를 먼저 내다보고 일찍 융합을 시도한 곳도 있다. 동국대는 2007년 대학미디어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동대신문, 교육방송국, 영자신문, 출판부 등을 ‘동국미디어센터’로 융합해 통합 운영을 추진했다. 학생 기자들이 신문과 방송을 넘나들며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대 변화에 훨씬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는 1인 창작자의 미디어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온라인 인플루언서In uencer인 혜민 스님의 트위터 팔로 워 수는 8만 7천여 명이다. 카이스트 출신 도연 스님의 유튜브 채널 구독자는 3만 4천여 명이다. 구독자 수는 아직 많지 않지만 청년 불자 성도, 연화 심의 소소한 수행이야기 ‘THE화두話頭’ 팟캐스트나 대한민국 사찰을 여행하는 강산의 ‘아이고절런’ 유튜브 채널, 대불련에서 제작한 ‘불나방’ 페이스북 페이지 등 청년 불자들이 제작한 불교 주제 미디어 콘텐츠는 그동안의 고정관념을 깨고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 불교계미디어,적응하고 있지만 속도는 더뎌

세계적인 미디어의 흐름은 융합과 경계 허물기에 바탕한 수요자 중심의 미디어로 요약된다. 세대별 분화속도도 매우 빠르다. 전 세대를 아우르는 플랫폼으로 유튜브가 거론되지만 10대들에게는 15초 무료영상 앱인 ‘틱톡’이 벌써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고 있다. 틱톡은 세계 스타트업 기업의 순위에서 시가총액 80조 원을 넘어서면서 ‘우버’를 추 월했다.

미디어 학자들은 기성 미디어가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변화하지 않을 경우 닥칠 위기를 경고한다. 불교 인구 감소와 어린이 청년불자 감 소는 그동안 분야별 콘텐츠 제작에 소홀하고, 새로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르는 적응이 이뤄지지 않은 데서 오는 결과일 수도 있다.

새로운 플랫폼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기술개발, 인력 확보가 이뤄지지 않으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흐름 속에서 불교계는 뒤처질 수밖에 없다. 새로운 미디어에 적응하지 않는 한 불교의 미래는 어두운 전망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글. 유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