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덜어낸 밥상에서 얻은 지혜

[특집] 불교와 미니멀리즘

2017-09-05     유윤정

[특집] 불교와 미니멀리즘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남들보다 더 많은 것을 소유하려는 마음이 있습니다. 덧없음을 느낀 사람들은 불필요한 것을 덜고 삶을 소중한 것으로만 채우길 원했습니다. 미니멀리즘minimalism.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문화적 흐름이 떠올랐습니다. 2,600여 년 전, 부처님께서는 무엇을 가지고 살아가셨을까요. 부처님께서는 어떤 말씀을 하셨을까요. 월간 「불광」 9월호에서는 미니멀리즘을 재조명했습니다. 복잡한 일상을 가지치기하며 덜어내는 삶에 주목했습니다. 단순해질수록 명료해지고, 명료해질수록 삶의 행복에 가까워지는 방법들을 만났습니다. 필요한 만큼만 가지는 삶. 과하지 않는 마음. 간소하게 사는 이들. 미니멀리즘입니다.

01    불교 미니멀리스트는 어떻게 살았는가  유윤정
02    비워내서 충만한 삶, 나는 미니멀리스트  유윤정
03    ‘단순한 삶’이란 나의 말과 행위를 잘 다스리는 것  김성동
04    덜어낸 밥상에서 얻은 지혜  유윤정
05    적게 먹고, 아껴 쓰고, 낭비 않는 소박한 삶  김우진

 

덜어낸 밥상에서 얻은 지혜

사진. 최배문

불필요한 것은 덜어내고 간소하게 조리한 소박한 음식을 소식小食하는 것. 사찰음식과 발우공양은 미니멀리즘의 정수다. 분당 연화사로 향한다. 원상 스님을 찾았다. 스님에게 듣는다. 덜어내서 얻게 되는 식사법, 사찰음식과 발우공양.

 

 

 

|    스님이 차려준 밥상

“그러면 공양 시간에 맞춰 오세요.”

원상 스님은 우리를 맞이하며 직접 상을 차려주었다. 콩잎절임에 나문재두부무침, 강된장과 노각장아찌, 호박된장국에 감자보리밥. 소박하고 따뜻한 상이다. 오신채를 빼고, 조미료를 빼고, 조리 과정도 최소화했다. 덜어내어 더욱 조화로운, 사찰음식이다. 스님은 사찰음식은 오신채를 쓰지 않고, 사찰 안에서 자급자족하여 먹고, 소식小食하는 것이라 했다.

“비워야 합니다.” 스님은 정진하는 데 도움 되는 건강한 식사를 위해 오신채를 쓰지 않고, 적게 먹고, 넣지 말고 조리하고, 배를 비우라고 당부했다.

“오신채는 열을 내는 음식입니다. 열이 넘치면 생각이 많아지고 들떠 과격해지고 공격적이 됩니다. 몸에 나쁘다고 하는 흰 음식 있지요. 설탕, 밀가루, 소금 같은. 이런 것을 많이 먹으면 혈액이 탁해지고 끈적끈적해집니다. 생각이 탁해집니다. 화학조미료는 사람의 신경을 자극합니다. 커피도 자연식품이긴 하지만 잠을 안 오게 하고, 사람을 들뜨게 합니다. 또 음식을 너무 허겁지겁 먹습니다. 음식을 빨리 먹게 되면 배고프단 생각이 먼저 들어요. 그러면 (음식을) 또 찾아요. 천천히 먹어야 합니다. 부처님은 하루에 한 끼를 드셨습니다. 우리는 세 끼를 먹죠. 적어도 저녁식사를 오후 7시 이전에 마치거나 오후불식을 하면 몸이 가벼워집니다. 배가 비면 잘 때도 꿈꾸지 않고 숙면을 취하게 됩니다. 3~4시간만 자도 정신이 맑아요. 그런데 음식을 많이 먹으면 많은 시간을 자도 피곤합니다.”

스님은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과도한 망상이 일어난다고 했다. 음식을 먹으면 열이 올라오고 그 열에 의해서 생각이 많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배가 비워져있으면 사람이 차분해지기 때문에 참선할 때도 될 수 있으면 배를 비운다고 한다. 스님은 어떤 음식을 먹는지도 중요하고, 음식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 상 차림을 좋아해요. 다 못 먹더라도 갖춰져 있는 것을 좋아해요. 발우 공양은, 찬상만 봐도 반찬이 다섯 가지를 넘지 않습니다. 거기서 내가 덜어서 먹게 되죠. 발우공양에 집중하면 찬상을 보며 내가 정말 먹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됩니다. 한껏 차려져 있는 음식을 먹으면, ‘그냥 있는가 보다’ 하고 생각 없이 먹게 돼요. 덜어 먹게 되면 내가 무엇을 먹고 싶은지 자각하게 됩니다. 발우공양을 하면 내가 지금 무엇을 먹고 싶은지 알게 되고, 나를 살피면서 먹을 수 있고, 내가 어떻게 씹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발우공양은 자신이 떠온 음식은 다 먹어야 한다. 그렇기에 먹을 양만큼만 가져오게 된다. 적당하게 먹을 수 있다. 묵언하며 먹기 때문에 먹는 행위에 집중이 된다. 훨씬 덜 먹고, 훨씬 천천히 먹게 된다. 음식을 욕심내서 먹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서 몸을 지탱하는 약으로 삼아 먹는 것이 발우공양인 것이다.

사진. 최배문

“발우가 없어도 발우공양처럼 먹으면 돼요. 집에서도 발우공양을 잘 새기며 한 접시에 뷔페식으로 덜어 드세요. 각자의 접시에 먹을 만큼 내 몫의 반찬을 덜어 먹고, 더 필요하면 가져다 먹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절식할 수 있고, 위생적이고, 그릇 수도 적게 나오고, 음식물 쓰레기도 나오지 않게 됩니다.”

원상 스님은 건강을 위해 소식하기를 바랐다. 육체적 건강도 있지만 정신적 건강 때문에도 소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오염된 식재료들을 먹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 조미료 등도 빼고, 조리 형태도 적게 하라고도 당부했다. 잘 먹는 게 중요하다는 스님이 차려준 밥상에서 지혜를 얻는다. 덜어내서 얻어지는 지혜다.

“육체가 건강한, 정신이 건강한 사람이 되려면 잘 가려 먹어야 합니다. 잘 가려 먹으면 긍정적인 사람, 인격적으로 좋은 사람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