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없이 심히 깊은 미묘법이여
상태바
위없이 심히 깊은 미묘법이여
  • 관리자
  • 승인 2007.10.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처님 그늘에 살며 생각하며 / 불모(佛母) 박정자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부처님께서 저에게 이 길을 걷도록 인도해 주신 것 같아요. 제가 불화공부를 하기 이전에 동양화와 서예, 초상화를 그린 것도 저를 불모(佛母)로 만들기 위한 부처님의 뜻이었다는 생각이 들어요. 날이 더하고 해가 거듭할수록 부처님 인연법의 심심미묘함을 느낍니다.”

탱화(幢畵)그리는 사람을 부처님을 낳는다고 해서 불모(佛母)라고 부른다. 주로 총림(叢林) 안에서 사자상속(師資相續)되어온 불모의 역할은 청정비구가 그동안 담당해왔다. 불교의 깊은 뜻을 터득해야할뿐더러 평생의 수행없이는 좋은 불화를 그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른 일도 아니고 부처님을 그려 모시는 일이기 때문에 여성금기로 되어왔다. 그런데 연암(蓮巖) 박정자(48세)씨는 이 두터운 전통의 벽을 깨고 마침내 중요무형문화재 48호 단청장(丹靑匠)으로 인정받기에 이른다.

지난 ‘86년 제11회 전승공예대전에서 머리칼보다 가는 세필(細筆)에 금니(金泥)를 묻혀 그린 ’금니부모은중경병(金泥父母恩重經屛)‘으로 영예의 대통령상을 받기도 한 박정자 씨.

그는 3남 1녀의 자녀를 둔 평범한 주부였다. 어렸을 때부터 그림에 솜씨가 있었던 그는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교단에 섰다가 여기(餘技)로 서화를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인 만봉(萬奉) 화상의 불화를 보고 그 아름다움에 반했다.

그것이 1971년,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22년 전의 일이다. 문하생을 자청하고 찾아간 그를 스님께선 별로 눈여겨 보시지도 않았다. 그리고 그렇게 해보고 싶으면 1주일 후에 오라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그 당시만 해도 탱화는 스님, 혹은 남자들이 해야할 일이라 믿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뜻을 가진 이 분들도 길게는 몇 년, 짧게는 몇 달을 하고 도중하차 하기가 일수였으니 스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신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 모른다. 다 알다시피 불화공부는 쉽지 않은 일이다. 십왕초 천왕초 여래초를 방바닥에 엎드려서 수천 장씩 그려야 한다. 똑같은 일을 하루 종일 수없이 반복 되풀이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기초공부만 10년 이상을 해야 비로소 탱화를 조성할 수 있으니 과히 끈기와 인내가 없으면 될 수 없는 일이다.

일주일 후에 오라는 스님의 말씀을 듣고도 그 다음날 바로 찾아간 그는 불화를 그리게 해달라고 다시 간청했다. 이렇게 시작된 불화공부는 오늘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가정주부로서 매일 아침 일찍부터 저녁 늦게까지 불화를 공부한다는 것은 쉽지가 않았다. 가족들의 반대에 부딪치기도 했다. 그러나 다행히 불심 깊은 시어머님께서 이해해주시고 가정일을 도맡아 해주셨다.

아침 먹고 봉원사 만봉화실에 가면 저녁 늦은 시간에야 돌아오곤 했다. 10년 간을 매일 그렇게 했다. 스승인 만봉 스님께서 그때야 비로소 그를 눈여겨보시기 시작했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헛되지 않았다. 전승공예대전에서 입선, 장려상, 특별상을 받고 마침내는 최고의 대상인 대통령상을 받은 것이다.

그것은 그동안 자신이 불화공부를 할 수 있도록 뒷바라지 해주신 시어머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뜻으로 그린 부모은중경 병풍으로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