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불자를 기약하며
상태바
내일의 불자를 기약하며
  • 관리자
  • 승인 2007.10.1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두수상

인간경시의 살벌함과 물질만능의 염오(厭惡)함이 시대풍조의 당위적 추이를 지나쳐 홀연 추악해져 가는 탓인지, 나는 요즘 들어 진실의 본간에 기댈 수 있는 신심(信心)을 그리워 할 때가 많다.

인성(人性)의 폭이 열졸하고 사유의 깊이가 여틈해서 신심을 우러낼 동기마저 느껴 본 적이 없는 나로서는 참으로 별난 변화일 수밖에 없다. 이같은 심정의 까닭을 숙고하는 바, 그것은 첫째가 외로움이요, 둘째가 존명의 의미마저 상실케 하는 사회적 황폐에다 끈을 댐을 알았다.

금년 정초, 그 숙연한 서설(瑞雪)이 선백의 운하(運河)처럼 욕계를 덮던 날, ‘눈보라의 運河’라는 글머리로 당신의 생애를 엮으셨던 모친께서 86세의 세화를 마감하셨다. 그 날로부터 오늘까지 나는 명각의 제 정신을 지탱할 수 없는 혼각과 울혈낭자한 비감의 어질머리로 ‘외로움’을 싸바르며 살고 있다. 세상이치로도 그만하면 천수요, 상정의 눈으로 봐도 호상(好喪)임에 어김없으련만 이처럼 무작스러움에 버금가는 외로움을 키우는 뜻인즉 모친으로부터 물려받은 ‘문학’의 그 절절한 ‘피’를 염모하는 탓이다. 그러나 이 ‘외로움’ 역시 중생(衆生)의 한량없는 탐(貪)이라 자책하는 날이 있을 것이요, 그 각성의 정연한 뜻을 일깨우는 웅혼불멸의 진실이 신심 속에 있다면, 나는 그 신앙의 진지한 맨살이 되어 여생을 바치고 싶은 것이다.

이 천륜의 애절한 외로움을 이겨냈다고 했을 때, 나는 불행히도 또다시 사회적 황폐의 그 탄탄한 모순과 부정의 ‘새로운 비감’과 맞서야 할 소명을 지닐 수밖에 없다. 죽을 때 까지는 문학을 해야 하는, 어쩌면 영원히 기구(崎嶇)한 격고명금(擊鼓鳴金)의 그 참담한 싸움을 자청(自請)해버린 운명이기 때문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