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화’와 ‘생명운동’의 만남, 친환경공양미운동
상태바
‘불교문화’와 ‘생명운동’의 만남, 친환경공양미운동
  • 관리자
  • 승인 2007.10.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눔의 길/농촌문제, 불교적 대안

나의 삶 속에서 우리나라 농업·농촌의 의미

도시인들에게 우리나라의 농업·농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농업·농촌의 일이 나의 이해관계와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생각이 큰 장벽이다. 도시의 삶 속에서 먹을거리는 단지 돈을 주고 거래하면 그만인 ‘상품’이다. 그렇기에 그 ‘상품’이 어디서 어떻게 생산되고, 유통되는지에 대한 관심이 없다. 단지 그것을 안정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돈을 버는 행위에만 관심이 높다. 장벽이 이것 하나라면 그래도 괜찮다. 공산품 수출이 위협 받게 된다는 입장에 서게 되면 농업농촌은 그야말로 소중하고, 고마운 존재가 아닌 천덕꾸러기처럼느껴지는 것이다.

산업화가 본격화되기 이전 우리 사회는 농업과 농촌에 기반한 사회였다.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우리나라의 식량공급처는 이 땅의 농촌이 아닌, 미국 및 캐나다, 호주 등 세계의 곡물수출국가들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25%를 밑돈다. 네 끼 중의 세 끼를 수입해야 생존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아마도 앞으로는 지금 우리 사회가 미래의 희망으로 여기는 반도체나 자동차, 컴퓨터를 능가하는 가치로 식량의 문제가 다루어지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뜻있는 사람들의 걱정이 크다.

이런 관점을 가지고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자. 우리 사회가 농업·농촌을 이렇게 홀대해도 되는 것일까? 농업·농촌에 대한 오늘날의 이런 대접이 후에 어떤 결과를 초래할까? 불교의 인과응보의 원리로 보면 답은 뻔하다. 그래서 농업·농촌의 문제를 더 이상 농민들만의 문제가 아닌, 농민과 도시민 모두의 문제로 보는 시각이 시급히 회복되어야 할 때이다. 마치 물과 공기가 흔할 때 그것의 고마움을 모르지만, 문제가 생기면 그것의 필요성이 절실해지듯이 먹을거리가 그렇게 될 것이다.

‘사회평등’과 ‘생태건강’이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요즘 세간에는 ‘사회적 양극화’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사회의 전 분야에서 부와 권력 그리고 각종의 이권에 관한 뚜렷한 쏠림 현상이 점점 더 심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양극화 속에서는 사회통합이 불가능하다는 진단이다. 너무 크게 사회가 울퉁불퉁해지면 사회갈등의 원인이 되고, 이는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 사회는 이런 사회 불평등의 문제를 여전히 지니고 있다. 그리고 거기에다 더해서 지난 90년대 이후 새로운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