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친 밥과 마음의 평화
상태바
거친 밥과 마음의 평화
  • 관리자
  • 승인 2007.10.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강교실

먹는다는 것이 단지 내가 먹고 싶은 것, 입에 맞는 것을 골라 먹는 것처럼 단순하지 않다. 한 사람이 음식을 먹는 행위는 엄청난 사회적·문화적·정치적 배경과 개인의 생리적 원인을 인간의 심신 깊은 곳에 새겨두면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평생 쌀 서 말을 먹지 못했다고 한다. 그만큼 우리 나라의 쌀 농사라고 하는 것은 어렵고 쌀의 수확은 쉽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조상들은 기상조건이 좋지 않아도 상당한 수확이 가능하고 흉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구황작물들을 심어 왔다.

이런 작물들은 장마나 가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땅이 썩 좋지 않아도 일정한 수확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조상들은 항상 기근을 대비하는 차원에서 생육기간이 짧은 조나 기장, 피, 수수, 고구마, 감자 등을 심었던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이런 작물들은 주식으로서 톡톡히 자기 역할을 해왔었다.

우리는 이런 음식들을 수천년 동안 먹어 왔던 것이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이런 거친 곡식들조차도 흔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왕과 양반들, 돈이 많은 사람들은 흰 쌀밥과 고기로써 그들의 권력을 자랑하게 되었다.

이렇게 먹거리들은 권력 있는 사람들에게 집중되는 것이었고, 많은 사람들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본능적 욕구 이외에 음식을 통해 계층의 상승을 이루어 내고 싶은 또 다른 욕구들을 가지고 살아가게 되었다.

전통적 사회가 붕괴된 이후에 사람들은 돈을 벌어 더 좋은 쌀과 더 많은 고기를 사기 위해 노력했다.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 박정희 정권은 밀가루 대통령이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밀가루의 권장을 부르짖었다. 또한 다수확 품종인 통일벼를 들여와 화학농법을 불사하면서까지 쌀 생산량의 확보에 주력하게 되었다.

한편 농가의 조정을 통해 축산업을 장려하고 더 많은 고기와 더 많은 우유 생산에 돌입하게 되었다. 그런 결과 우리의 식탁은 아주 부드럽게 도정되고 정제된 흰 쌀밥을 마냥 먹을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한쪽에서는 넘칠 대로 넘치고 흔할 대로 흔해서 먹기 싫은 밥이 되어 버렸고, 온통 수입 밀가루로 만든 빵과 과자, 라면, 밀가루 음식들의 천국이 되어 버리고 만 것이다.

인류가 농경 사회로 접어들던 시기였던 만여 년 전부터 일관되게 먹어왔던 가장 주된 식량은 거친 곡식들이었다. 하지만 산업혁명 이후 100여 년을 갓 넘은 역사 속에 곡식의 도정, 정제 기술이 극도로 발달하면서 곡식을 더 하얗고 부드럽고 먹기 편하게 만들기 시작했다. 우리 나라의 경우 근 20년 동안 곡식의 도정율은 10분도를 넘고 있다. 우리는 지금 수천 년 동안 먹어왔던 음식과는 아주 다른 것을 먹고 있는 셈이다.

조나 기장과 같은 곡식은 아무리 도정을 하려고 해도 2,3분도를 넘지 못하고, 보리는 도정을 해도 가운데 옴팍하게 파진 선으로 섬유질 성분을 남기게 된다. 분명 학교 다닐 때 수업시간에는 쌀눈 떨어진다고 쌀 빡빡 씻지 말라고 배웠고, 수용성 비타민을 비롯한 영양이 녹아난 쌀 뜬물은 항상 된장국과 찌개 등에 재활용했었지만 이런 진솔한 이야기들은 차츰 사라져 아득한 추억이 되어 버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