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의 허물과 채식의 공덕
상태바
육식의 허물과 채식의 공덕
  • 관리자
  • 승인 2007.10.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채식

원래 초기 불교에서는 그다지 육식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었지만 대승불교 특히 기원 후 4~5세기의 중기 대승불교기에 이르면 여래장 사상 계열의 경전이나 능가경이 나타나면서 매우 강력하게 육식을 반대하게 된다.

대승불교에서 왜 육식을 금했는지 입능가경의 차식육품을 고찰하며 살펴보자.

이 품에서 대혜보살은 부처님께 육식의 허물과 먹지 않는 공덕을 설해달라고 부처님께 청한다. 이에 부처님은 자비를 닦는 보살은 필히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하니 고기를 먹으면 자비의 종자를 끊게 되고 모든 생명은 오랜 윤회 속에서 한번씩 권속의 인연을 맺지 않은 존재가 없기에 고기를 먹는 것은 자신의 부모형제와 처자를 먹는 것과 같아서 서로 살해하여 현성을 멀리 떠나고 생사의 괴로움을 받는다고 하셨다. 또 고기 맛을 버리는 자는 속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고 하셨다.

이 법문을 듣고 있던 나찰귀신들이 모골이 송연하여 스스로 육식을 끊고 육식하지 않는 불자들을 옹호하겠다고 하자 부처님은 나찰들도 법문을 들은 후 육식을 끊겠다고 하는데 불자로서 육식하는 자는 기필코 부처님의 권속이 아니라고 선언하신다.

고기란 부모의 부정한 고름과 피가 화합하여 이루어진 더러운 것으로 관찰하라 하시면서 고기를 먹는 자는 일체 중생이 두려워하는 바가 되니 중생을 교화하려는 보살은 필히 고기를 먹지 말라고 부탁하신다. 이렇게 보살이 육식을 끊으면 중생들은 그 보살에게 큰 신심을 내게 된다고 말씀하신다.

사실 이런 내용은 현실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내용이다. 개들은 동네에 개장수가 지나가면 전혀 짖지 않는다고 하며 어떤 법사님께 들은 이야기지만 평상시 보신을 위하여 뱀을 많이 잡아먹은 어떤 사람은 눈빛과 심지어 피부까지 마치 뱀처럼 푸르스름한 빛을 띠게 되었다는 것이다. 음식이 우리의 몸을 형성하고 몸이 우리 정신의 많은 부분을 좌우한다고 볼 때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다시 경전에 돌아가서 부처님은 계속하여 보살은 세간이 삼보를 비방함을 두호하기 위해 청정한 불국토를 구하기 위해 고기를 먹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관찰하여 보지도 말아야 한다고 하신다. 또 세간의 사술인 주법을 행하는 술사들도 육식을 하면 주술을 이루지 못하는데 가히 성도의 길을 구하는 불자는 말할 나위가 없다고 하신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