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스님]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해주 스님
상태바
[우리 스님]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해주 스님
  • 월간 불광
  • 승인 2007.09.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삶 자체가 성불로 나아가는 과정입니다

세상 만사 인연 아님이 없지만 살다 보면 남달리 깊은 인연으로 다가오는 사람이 있는데, 해주(海住: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불교학 연구회장, 일반인들에게는 불교방송 ‘자비의 전화’, ‘경전공부’ 해주 스님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스님이 바로 그런 분이다. 월간 불광에 삼년(88년~91년) 반 동안 ‘알기 쉬운 교리강좌’를 연재했고, 불교교리강좌, 화엄경 초역, 지송한글화엄경 등을 불광출판부에서 펴낸 인연 때문만은 아닌데 어쨌든 언제부터인가 스님의 행보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어쩌면 교계 안팎으로 여성의 지위가 열악한 현실에서 가시덤불을 헤쳐나가는 듯한 스님의 선구자적인 모습에 매료되어 수희 찬탄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특히 최근에는 불교학연구회(2000년도에 창립된 열린 학문마당, 전국적인 불교학공동체) 회장으로, 다가올 5월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될 대규모 학술모임인‘한국불교학결집대회’의 조직위원장으로 그 실무를 담당하며 불교학 발전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계시다는 소식은 새봄이 움트는 소리보다 더 화사하게 다가왔다.

발심한 순간 부처되어 살라

“화엄경에 보면, 부처님께서 수미산 꼭대기에서도 설법을 하십니다. 그 자리에서 십주법문을 하시는데 십주의 처음이 초발심주입니다. 중생이 처음 발심해서 보살이 되는 자리입니다. 그런데 초발심할 때 바로 정각을 이룬다고 해서 초발심시변정각(初發心時 正覺)하는 자리이기도 하지요. 그래서 초발심행자로 살고자 뜻을 같이하는 분들이 머무는 곳이라는 뜻에서 절이름을 수미정사라고 했지요.”

이름은 혼이라고 했던가. 현재 스님이 주석하고 있는 ‘수미정사(須彌精舍)’라는 절이름 속에 스님의 저력과 스님의 수행 이력이 다 들어있는 듯했다. 스님은 언제 어떤 인연으로 발심하였을까. “중학교 1학년 때 어떤 책을 읽으면서 굉장히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바람이 움직이는가, 깃발이 움직이는가’며 논쟁을 벌이는 두 스님에게 “움직이는 것은 깃발도 아니요, 바람도 아니다. 바로 그대들의 마음이 움직이는 것이다”라는 『육조단경』 혜능 스님의 말씀에 열네 살 소녀의 마음이 흔들린 것이야말로 선근 인연일 듯싶다.

“그 때 ‘스님들은 우리와 다른 차원에서 사는 사람들인가 보다.’라는 생각을 했고, 그 뒤론 마음이라는 말을 매우 자주 사용하고 있는 제 모습을 보면서 마음이 무엇인가 깊이 생각해보곤 하였지요. 그래서 종종 도사 따라 가서 도 닦는(마음공부하는) 상상을 했습니다.”

신동이라고 불렸던 소녀, 밤하늘의 별자리를 살펴보며 퀴리 부인 같은 과학자를 꿈꾸던 소녀는 또 한편으로는 그 때부터 스님이 되어 다른 차원에서 살고 싶은 꿈을 키워갔다. 마음에 그리는 대로 이루어지는 법, 대학 3학년 때 시절인연이 도래하였다.

“이모가 병원에 입원하셨는데 같은 병동에 젊은 남자 환자가 들어왔어요. 연세가 많으신 이모는 더 오래 살게 해드리려고 치료에 매달리는데 건장한 젊은이는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다 미수에 그친 모습을 보고 또 한번 충격이 왔습니다. 의학이나 과학은 사는 동안 사람을 잘 살게 해줄 수 있는 것이라면 죽고 사는 것 자체는 마음에 달려 있다는 것을 깨달았지요.”

한 치의 미련도 없이 마음자리를 찾기 위해 출가, 당시 청도 운문사 도감이었던 성관 스님을 은사로 삭발 입산하였다.

교학을 통해서도 마음자리를 찾을 수 있다

“강원에서 경전을 배우면서도 늘 마음 찾으러 선방에 갈 궁리를 했지요. 화엄경을 배우면서 ‘일체유심조’라는 대목이 절절하게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