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왕오천축국전] 6.재가불교의 고향, 바이샬리
상태바
[신왕오천축국전] 6.재가불교의 고향, 바이샬리
  • 김규현
  • 승인 2007.09.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 왕오천축국전 별곡

바이샬리로부터『왕오천축국전』은 시작되고…

앞 부분이 없어진, 현존본 『왕오천축국전』은 다음과 같이 시작되고 있다.

“삼보(三寶)를 … 맨발에 … 외도(外道)라 옷을 입지 않는다. <약 19자 缺> 음식을 보자마자 곧 먹는다. 재계(齋戒)도 하지 않는다. 땅은 모두 평평하고 … 노비가 없다. 사람을 팔면 살인하는 죄와 다르지 않다. <약18자 缺>』”

구체적인 지명은 보이지 않지만 위 구절은 바이샬리에 해당된 것이라고 학계에서는 비정하고 있다. 그 근거로는 혜초의 다음 행선지가 열반지 쿠시나가라인 것과 또한 본문에 ‘나체 외도’ 구절이 보이기 때문이다. 이는 혜초가 인도 도착지 탐룩에서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먼저 가까운 보드가야로 가지 않고 갠지스 북쪽 행로를 택한 것을 말함이다. 뒤에 혜초는 바이샬리를 ‘비야리성(扉倻離城)’이라고 적고 있는데, “이 중천축국 안에 4개의 대탑이 있는데 항하의 북쪽에 3개가 있다. 첫째 탑은 사위국의 급고독원에 있으니 거기에는 절도 있고 승려도 있음을 보았다. 둘째 탑은 비야리성의 암라원(菴羅園) 안에 있으니, 지금 탑은 볼 수 있으나 절은 허물어지고 승려도 없다.”

여기서 ‘암라원’은 물론 기녀(妓女) 암바팔리가 붓다에게 기증한 망고 숲을 말함이다.

비하르주의 수도 파트나(Patna)에서 갠지스를 건너 바이샬리로 가는 길은 쉽지 않았다. 먼 거리는 아니었지만 크고 작은 차를 몇 번씩이나 바꿔 타야 했기 때문이었다. 며칠을 달려도 산을 볼 수 없는 드넓은 황토색의 대륙에는 끝없이 푸른 논밭이 이어지고 그 사이로 간간이 궁핍함이 배어 나오는 조그만 촌락과 늪지가 스쳐 지나간다. 그리고 직선으로 뻗어나간 그 길에는 오늘도 신의 대접을 받는 성우(聖牛)들이 차를 가끔 가로막기도 하였다. 그것은 아마도 수천 년 전부터 그래왔을 인도의 전형적인 농촌의 정경이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