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늦은 만남
상태바
이토록 늦은 만남
  • 관리자
  • 승인 2007.09.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의 믿음 나의 다짐

살다보면 꼭 만나고야마는 것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그 차례가 하루로 친다면 아침나절에 또는 한낮에 그리고 예측도 기대도 안한 저녁 무렵에 겨우 와서, 혹은 가서 만나고야 마는 것. 그 불확실성이 어쩌면 인생의 묘(妙)인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만나고야 말 것은 늦게라도 만난다는 것. 불교식 해석을 한다면 좋든 궂든, 바라든 안 바라든 인과응보의 결과로 처리되겠지만.

어머니는 쌀을 사오면 제일 먼저 절에 갖고 가실 공양미를 정갈히 담아서 따로 두셨고, 절에 가시기 며칠 전부터는 육식도 금하시고 다녀 오셔서는 늘 흐뭇한 얼굴로 “뭐하고 뭐를 정성껏 부처님께 빌었으니 꼭 들어 주실거야”는 등 마치 이웃집 아저씨한테 부탁이나 한 것처럼 만족스러워하셨으니 지금 생각하면 참 편하기도 하여 웃음이 나온다. 그러나 나는 단 한 번도 절에 동행한 적이 없다. 무관심도 있었지만 “빈다고 뭐가 이루어진다면 누구나 다 빌기만 하지….” 속으로 그 믿음의 단순성이 초등학교 산수 같아 우습게 느껴지기만 하였다.

내가 생각하는 신앙이란, 특히 불교는 그 정체(正體)가 엄청 먼 곳에 있고, 합리적인 이해나 제어가 해당 안 되는 그야말로 미지수가 너무 많아 풀기 힘든 고등수학 같은 것. 그렇게 어렵게만 생각했으니. 절은 언제나 원경(遠景)이고 스님은 그 신분을 나타내는 일종의 ‘유니폼’을 입고 특이한 ‘라이프 스타일(Life Style)’을 지키는 인간상으로만 비쳤다.

오십을 지천명(知天命)이라고, 설치고 날뛰던 사람도 그 나이가 되면 살아온 둥지의 무게를 소중히 다지는데, 나는 그 지천명에 나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과 결별하였다. 둥지를 뒤로 하고.

그 시기 - 방향조차 불투명했기에 돛도 내린 채 물 위에 떠 있는 배 같은 시절 - 그러나 그것이 나의 적극적인 선택이었기에 힘들지만 우울하게 가라앉을 수는 없어 나는 나라는 인간의 개조를 시도하는 방법으로 독서를 택했으니 지난 일이지만 별로 이렇다 할 잘한 일이 없는 내 인생에서 유일하게 잘한 일인 것 같다.

원래 나의 독서법, 아니 독서벽은 잡식성다독형(雜食性多讀型)이라 닥치는 대로 읽어치우는데 그 과정에서 만난 책.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읽기 위한 책이 아니라 서예법첩(書藝法帖)의 하나인 ‘집자성교서(集字聖敎序)’라는 비문(碑文).

당의 현장삼장 법사(玄裝三藏法師)가 천축(天竺:지금의 인도)에서 가지고 온 불전(佛典) 즉 성교(聖敎)를 새로 한역(漢譯)하여 당태종(唐太宗, 7세기)에게 바치고 서문(序文)을 하사받은 내용을 비문으로 새긴 것인데 거기에 등장하는 현장 법사에 대해서 나는 대단한 흥미를 가졌다.

그의 17년이라는 구법(求法) 취경(取經)의 여로. 귀국하여 실현시킨 역경이라는 대위업(大衛業). 그 노력, 용기, 집념의 발자국을 찾아 나는 대서점(大書店)을 두루 살폈으나 양이 차지 않아 일본까지 가서 서적을 구해왔다. 현장저(玄裝著)인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를 근간으로 연결된 책들을 역시 닥치는 대로 읽다 보니 어느덧 나는(착실한 불교의 기초 지식이 없는 탓으로) 미림(迷林)처럼 막막하던 경서(經書)의 세계가 향림(香林)으로 바뀌어 가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만약 현장 법사의 피와 땀의 노력이 없었다면 부처님의 그 위대한 가르침이 지금과 같이 아시아에서 퍼질 수 있었을까?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