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프론티어 보살 문성 공주님
상태바
위대한 프론티어 보살 문성 공주님
  • 관리자
  • 승인 2007.09.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가 감동한 밀교의 여성들 2

달라이라마의 티벳정부가 망명해 있는 북인도의 다람살라에서 티벳불화와 만다라를 공부하다가 한 비범한 몽골 스님을 만났다. 그 스님은 밀교미술의 껍데기만 공부하고 있던 나에게 그 심오한 상징의 내면들을 조금씩 열어보여 주면서 집요하게 설득하였다.

“몽골도 티벳 같은 불교국가였다. 티벳보다 뛰어난 밀교미술의 전통이 있었다. 공산화 때문에 잠시 죽었던 그 전통을 다시 살려내야 한다. 함께 몽골로 가서 불교미술학교를 만들고 사람을 키우자. 다람살라에서는 배울 수 없는 밀교미술의 진수를 가르쳐 주겠다. 보시행도 하고 방법도 제대로 배워야 그림을 통한 수행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래서 나는 70년에 걸친 공산정권이 인간의 정신과 문화를 황폐화 시켜버리고는 마침내 붕괴된 직후, 모든 것이 몹시도 궁핍하고 어수선했던 지난 94년에 몽골에 들어왔다. 스님을 도와 학교를 만들어 꾸려가고 학생들을 가르치고 틈틈이 재미있는 공부도 하고 있다.

여기서 하는 모든 일들은 나의 가치를 드러내고 발휘할 수 있는 멋지고 신나는 일이고 동시에 복까지 짓는 참 자랑스럽고 좋은 일들이다. 그렇기는 하지만 몽골에 산다는 것이 너무나 힘들 때가 있다. 기후가 다르고 낙후되어 있다는 것 자체가 이유는 아니다. 그것은 다람살라라고 해서 그다지 나을 것도 없었다.

파리가 들끓는 인도 농가의 외양간 위에 살면서도 나는 충만감을 느꼈었다. 거기에는 나에게 에너지를 퍼부어 주는 여러 성자와 수행자와 눈으로도 마음이 통하는 도반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나의 에너지를 고갈시키는 요소들이 오히려 더 많다.

그래서인지 인도에서는 아무렇지도 않던 척박한 생활환경조차 고달프게 느껴지는 것이다. 자라면서 먹은 음식과 뜨끈한 온돌과 사우나 생각이 나고 한국과 다람살라의 여러 가지 불교문화적인 분위기들이 그리워진다. 그런 것들 없이 여기서 견뎌내려면 스스로 나의 내면 에너지를 길어올려야만 한다. 그렇게 에너지를 길어올리는 두레박 같은 분. 떠올리면 뜨거운 눈물이 흐르고 내게 커다란 위안을 주고 확신을 준 공주님 한 분이 계시다.

내가 닮고 싶은 문성공주님은 지금부터 약 1천 3백년 전에 티벳으로 시집을 가신 당나라 태종의 따님이시다. 공주께서 시집을 가시던 그 때 티벳에는 불교가 아직 전래되지 않았었고, 그래서 티벳사람들이 지금처럼 비록 가난하지만 매우 온화하고 신비로운 종교적 품성을 지닌 그런 매력적인 사람들이 아니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