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불교문화연구원 개원 6주년 기념, 조계종 교육원 개원 3주년 기념으로 공동주최한 '열 린 세계에 있어서 세계 승가공동체의 현황과 전망'이란 제하의 학술회의 자료집에서 양해를 얻어 '스리랑카 승가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조사 연구(일중 스님)'를 발췌 초록, 2회로 나 누어 싣는다. 특히 스리랑카 불교 약사(略史)와 현대 스리랑카 승가의 교학 체계와 수행체계 를 간략하게나마 게재하여 스리랑카 불교의 교학전통과 수행전통을 조망함으로써 한국불교 의 정체성을 찾고, 불교의 보편적 진리로써 미래세계를 열어나가고자 한다. -편집자 주-
인도의 최남단 인도양 한가운데 자리한 섬나라 스리랑카는 상좌부 혹은 남방불교권 내에서 교학 전통으로 널리 알려진 나라이다. 예로부터 법(法)의 섬이라 불려진 스리랑카에서 불교 역사는 곧 이 나라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불교는 이 나라의 교육 문화 정치 전반에 관여해 왔기 때문에 민족, 나라, 불교 셋을 동일시하려는 국민들의 특수한 세계관이 형성되 어 2,300여 년 동안 지속되어왔다. 스리랑카 불교는 미얀마의 수행전통이나 태국의 계율전통 과 확연히 구분되는 교학의 전통을 지니고 있다.
기원전 3세기 데와남삐야띳사 왕 때 불교를 처음 받아들인 스리랑카는 아주 짧은 기간 동안 급속하게 발전시켰다. 대사(大寺)를 중심으로 비구 교단이 설립되었고, 6개월 후 마힌다 장 로의 누이동생인 상가밋따 장로니에 의해 비구니 교단도 형성되었다.
월간불광 과월호는 로그인 후 전체(2021년 이후 특집기사 제외)열람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