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불교] 스리랑카 불교(1)
상태바
[세계의 불교] 스리랑카 불교(1)
  • 관리자
  • 승인 2007.09.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의 불교

가산불교문화연구원 개원 6주년 기념, 조계종 교육원 개원 3주년 기념으로 공동주최한 '열 린 세계에 있어서 세계 승가공동체의 현황과 전망'이란 제하의 학술회의 자료집에서 양해를 얻어 '스리랑카 승가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조사 연구(일중 스님)'를 발췌 초록, 2회로 나 누어 싣는다. 특히 스리랑카 불교 약사(略史)와 현대 스리랑카 승가의 교학 체계와 수행체계 를 간략하게나마 게재하여 스리랑카 불교의 교학전통과 수행전통을 조망함으로써 한국불교 의 정체성을 찾고, 불교의 보편적 진리로써 미래세계를 열어나가고자 한다. -편집자 주-

인도의 최남단 인도양 한가운데 자리한 섬나라 스리랑카는 상좌부 혹은 남방불교권 내에서 교학 전통으로 널리 알려진 나라이다. 예로부터 법(法)의 섬이라 불려진 스리랑카에서 불교 역사는 곧 이 나라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불교는 이 나라의 교육 문화 정치 전반에 관여해 왔기 때문에 민족, 나라, 불교 셋을 동일시하려는 국민들의 특수한 세계관이 형성되 어 2,300여 년 동안 지속되어왔다. 스리랑카 불교는 미얀마의 수행전통이나 태국의 계율전통 과 확연히 구분되는 교학의 전통을 지니고 있다.

기원전 3세기 데와남삐야띳사 왕 때 불교를 처음 받아들인 스리랑카는 아주 짧은 기간 동안 급속하게 발전시켰다. 대사(大寺)를 중심으로 비구 교단이 설립되었고, 6개월 후 마힌다 장 로의 누이동생인 상가밋따 장로니에 의해 비구니 교단도 형성되었다.

많은 젊은이들이 출가하였고, 각 마을마다 사원들이 건립되는 등 빠르게 불교가 확산될 수 있었던 것은 인도의 아쇼카 왕과 데와님삐야띳사 왕과의 유대관계, 마힌다 장로의 헌신적인 노력과 뛰어난 능력, 상가미타 비구니의 봉사, 왕의 절대적 후원과 귀족과 국민들이 일체가 되어 불교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불교 전래 이후 바로 불교는 국교가 되었고, 왕은 승가의 최고 후원자가 되었다. 승가는 왕 이 정치를 잘 할 수 있도록 조언했으며 백성들을 가르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한 전통은 면면이 계승되어 10세기에 와서는 오직 덕행 있는 보디사트바만이 스리랑카에서 왕이 될 수 있었으며, 왕이 되기 위해서는 승가로부터 인가를 받아야만 하는 관례가 생겼다.

스리랑카 고대사 중에서 가장 훌륭한 영웅으로 추앙받는 듯타가마니 왕 시대(10∼77 B.C.) 에 불교가 가장 번성했다. 당시 타밀 왕에게 오랫동안 왕권을 빼앗겼던 둣타가마니 왕은 " 나는 왕국을 되찾기 위해서가 아니라 불교를 뒤찾기 위해서 전쟁을 한다."라는 이념을 내세 웠고, 짧은 기간 안에 나라를 되찾을 수 있었다. 그만큼 스리랑카에서 불교는 사람들을 모을 수 있는 구심체 역할을 했고, 정신적인 지주였다.

기원전 1세기 왓따가마니 아바야왕 시대는 타밀인의 침략과 전쟁, 가뭄, 기근, 힌두교도의 반란 등 재난이 연이어 발생하여 수만의 승려들이 기아로 죽어갔고, 왕국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대사(大寺)와 대탑(大塔)은 황폐해졌다.

이때 경장(經藏) 소부(小部)의 대의석(大義釋)은 거의 잃어버릴 위기에 처했었는데 역사서에 의하면 "앉아 있을 힘조차 없을 때 머리를 모래 위에 얹은 채 누워서도 계속 암송을 했다." 고 한다.

이렇게 빨리삼장과 주석서들을 가까스로 보전한 스리랑카는 왓따가마니왕이 왕권을 되찾았 을 때 대사(大寺)와 무외산사(無畏山寺)로 나뉘는 승가의 첫 분열이 있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