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사유상] 서양미술사학자의 관점으로 보는 반가사유상
상태바
[반가사유상] 서양미술사학자의 관점으로 보는 반가사유상
  • 노성두
  • 승인 2023.05.23 16: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가사유상의 조형성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Domenico Ghirlandaio)의 <성 히에로니무스(St. Jerome in His Study)>, 위키미디어 공용

서양의 ‘생각하는 사람들’

반가사유상은 반가의 자세로 사유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 6~7세기경 꽤 유행했고, 현재 30점 정도 남아 있다 한다. 서양에서는 고대 유물이 기독교에 의해 파괴되고 1% 남짓 남아 있다고 추정한다. 우리는 사정이 다르겠지만, 비슷하게 계산하면 한때 한반도에 반가사유상이 3,000점 정도가 제작됐다가 현재 30점 남았다고 볼 수 있다. 반가사유상은 종교 미술이다. 그러니까 ‘사유’도 단순한 ‘생각’이나 ‘고민’과는 차원이 다를 것 같다. ‘오늘 점심 뭐 먹지?’, ‘ 메뉴 고르기가 세상에서 제일 어려워’ 이런 식의 고민은 종교적 사유와 구분해야 한다는 뜻이다. 서양미술에도 생각이나 고민에 잠긴 주제나 소재가 꽤 있다. 종교의 빛을 찾는 사유와는 결이 한참 다르겠지만, 주제를 설득력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 독특한 자세나 표정이 고안됐고, 조형적으로 정착됐다. 

‘생각’ 또는 ‘고민’에 빠진 사람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주제는 다음 세 가지가 가장 많다. 첫째는 예수의 아버지 요셉. 마리아가 출산할 때나 갓난아기를 요람에서 돌보는 장면에서 아버지 요셉은 쭈그렁이 할아버지 모습으로 그림 한 귀퉁이에 힘없이 앉아서 턱을 괴고 있다. 여기서 턱을 괴는 자세가 ‘생각’의 도상이다. 한편, 젊은 새댁 마리아와 나이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할아버지로 요셉을 표현하는 이유는 마리아의 순결과 무원죄 잉태를 강조하기 위한 장치라고 한다. 물론 마리아는 예수를 낳은 다음에 동생을 여럿 생산했다. 요셉도 나름대로 구실을 제대로 한 남자였던 것이다. 하지만 교회 제단화로 걸리는 종교화에서 어리고 순결한 마리아 옆자리에 근육질의 마초 맨이 ‘등빨’을 뽐내고 있다면 그것도 꼴불견일 것 같다. 그런 이유로 종교화에서 요셉의 얼굴에는 주름살이 무한정 늘어나게 된다. 

두 번째는 성 히에로니무스다. 1,600년 전 히브리 성서를 라틴어 성경 『불가타(Vulgata)』로 번역한 대학자다. 요즘도 가톨릭에서는 성 히에로니무스 번역을 정경(正經)으로 사용하고 있다. 번역이 얼마나 뼈를 갈아 넣으면서도 돈 못 버는 작업인지는 누구나 잘 알 것이다. 필자도 통산 100권 넘게 번역하면서 인생 탕진해 봐서 알고 있다. 성 히에로니무스는 종교화에서 노상 이마 기름을 쥐어짜면서 턱을 괴고 있는데, 이건 번역이 잘 안 풀려서 그런 것 같다. 어쨌든 미술 주제로 자주 나오니까 끼워준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