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직지사, 추풍령 넘어 수행자들의 야무진 터전
상태바
김천 직지사, 추풍령 넘어 수행자들의 야무진 터전
  • 노승대
  • 승인 2023.05.3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음속에 담아둔 절]

향화가 끊기지 않은 가람, 직지사

추풍령을 넘어서면 바로 김천 땅이다. 곧 충청도에서 경상도로 넘어가는 경계선에 있는 고개가 바로 추풍령이다. 예부터 경상도에서 충청도로 넘어가려면 큰 고개 셋 중에서 하나를 택해야 했다. 이곳 추풍령과 문경과 충주 사이의 문경새재, 영주와 단양 사이의 죽령이다. 새재는 새들도 힘들어 쉬면서 넘어가는 고개라고 해서 한자로는 조령(鳥嶺)이라고 불렀다. 이제는 세 곳 다 고속도로가 통과하지만 문경새재와 죽령은 터널로 뚫려 있다. 죽령터널은 그 길이가 4,600m로 한때는 가장 긴 터널로 이름이 알려지기도 했다. 이는 추풍령이 가장 완만한 고개였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조선시대에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올라가는 선비들은 추풍령이나 죽령을 경유하지 않았다. 추풍령을 경유하면 과거시험에서 추풍낙엽처럼 떨어지고 죽령을 경유하면 ‘죽죽~ 미끄러진다’는 속신(俗信)이 전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구 방향에서 올라오는 선비들은 먼 거리를 마다하지 않고 빙 돌아 김천-상주-문경을 경유해서 새재를 넘어갔다. 문경(聞慶)이라는 지명은 ‘문희경서(聞喜慶瑞)’, ‘기쁘고 경사스럽고 상서로운 일을 듣는다’는 뜻에서 왔다. 과거 응시자가 경사스러운 소식을 듣고자 하는 것은 간절한 염원이니 굳이 징크스가 있다는 고개를 넘어갈 리가 없었던 것이다. 

김천 땅에서 추풍령을 넘기 직전 서쪽 방향으로 바라보면 부드러우면서도 높은 산이 우뚝 솟았다. 황악산(1,111m)이다. 골은 깊고 그윽하니 대가람이 들어섰다. 김천지역을 대표하는 직지사다. 직지사가 언제 창건됐는지 확실한 기록이 없다. 선산의 도리사를 창건한 아도화상이 멀리 황악산을 가리키며 ‘저 산 아래 절을 지을 만한 상서로운 터가 있다’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고 고려 초기 능여(能如) 스님이 사찰을 중창할 때 직접 자신의 손가락으로 길이를 재었기 때문에 절 이름이 생겼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선종의 가르침인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에서 사찰의 이름이 유래됐다고 본다. 그러나 선종은 9세기에 이르러 유행했기에 창건 시기가 너무 늦어지게 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