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에서 차차차茶茶茶] 궁중茶례
상태바
[산사에서 차차차茶茶茶] 궁중茶례
  • 김세리
  • 승인 2023.04.26 16: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茶, 제왕帝王의 음료
고려시대 제작된 청자상감 주전자와 받침(보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왕의 의례, 진다(進茶)

차를 올리는 진다(進茶) 의식은 삼국시대의 헌다(獻茶) 의식이 발전된 것이다. 그 대상은 신(神), 선왕(先王), 임금이거나 오악삼신(五嶽三神)과 때로는 외국에서 온 사신이기도 했다. 귀한 이에게 올리는 의식의 예물로 정성껏 만들어진 차를 진상했다. 차는 아픈 이들에게는 치료 약으로, 교유에 있어 소통의 촉매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국가 의례에 있어서는 품위와 격식을 갖추는 음료였다.

● 오악(五嶽): 동의 금강산(金剛山), 서의 묘향산(妙香山), 남의 지리산(智異山), 북의 백두산(白頭山)과 중앙(中央)의 삼각산(三角山)을 말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