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에서 차차차茶茶茶] 茶의 오묘함을 말하다
상태바
[산사에서 차차차茶茶茶] 茶의 오묘함을 말하다
  • 이창숙
  • 승인 2023.04.26 15: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의 차, 선禪의 맛일까?
-초의선사와 『동다송』

다산(茶山)과의 만남

매년 봄 남쪽에서 불어오는 싱그러운 차향은 우리의 마음을 설레게 한다. 그 옛날 차를 즐기는 선인들의 마음도 그러했을 것이다. 차를 좋아하거나 우리 차(茶)에 관심이 있다면 초의선사(1786~1866)에 대해 한 번쯤은 들었을 것이다. ‘초의(草衣)’는 법호이고 법명은 ‘의순(意恂)’이다. 전남 무안 삼향면에서 태어나 15세에 나주 남평에 있는 운흥사로 출가했으며, 해남 대흥사 12대 종사이다. 시(詩), 선(禪), 차(茶), 불화(佛畫)에 능했으며 오늘날 한국의 다성(茶聖)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초의에게 유가(儒家)의 철학적인 식견을 넓혀준 사람이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이다. 둘의 만남은 1809년, 아암 혜장(兒菴 惠藏, 1772~1811) 스님의 소개로 이루어진다. 강진에 유배된 정약용과의 인연은 후일 사대부들과 교유하게 되는 토대가 됐다.  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에 따르면, 초의는 “다산을 따라 유서(儒書)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시를 배웠다”고 한다. 당시 불가(佛家)의 승려와 유가(儒家)의 문사들 사이에는 교유의 어려움이 있었는데, 초의가 쓴 「상정승지서(上丁承旨書)」에 그의 심정이 잘 드러난다.   

“근자에 어떤 요망한 산승(山僧)이, 혹은 제가 송암(松庵)에 머무는 동안 유림(儒林)으로 돌아설 조짐이 있다고 떠들어대어, 그 말이 은사 스님에게까지 이르렀습니다. 은사 스님도 덩달아 의심하게 되었습니다. 진실로 이런 말 때문에 스승님의 훌륭한 덕에 누가 될까 염려되어 왕래가 드물어 마음속이 거칠게 되었습니다. 비록 다시 모실 기회가 온다 하더라도 주변의 수군거림으로 인해 마음을 다 드러내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