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한거] 맑고 또렷하게 깨어 있으라
상태바
[도심한거] 맑고 또렷하게 깨어 있으라
  • 석두 스님
  • 승인 2022.11.1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실적으로 우리의 삶을 보다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제도적 장치는 무엇일까? 현대 사회에서 한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정책 중에서도 빈승(貧僧)은 아마도 정치가 그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한 개인이 나라의 정치적 제도에 접근해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간접적으로 투표에 참여해 작은 의견을 개진하는 정도일 것이다.

미국 44대 대통령인 오바마는 케냐 태생의 아버지와 캔자스주 출신의 어머니를 둔 중산층에서 태어났다. 시카고로 이주한 그는 교회 단체와 함께 철강공장 폐쇄로 타격을 입은 지역사회 재건에 힘쓴 지역 인권변호사였다. 하지만 미국 한 주의 인권변호사로는 한계를 느끼고, 현실 정치에 직접 참여해 개인의 생각을 제도적으로 확대하려 했던 사람이었다.

‘깨어 있는 시민의식의 연대’를 살아생전에 강조하셨던 고(故) 노무현 대통령도 좋은 예다. 좋은 국가적 시스템의 구축은 구성원들의 의식 수준에 달려 있다. 모두가 정치를 할 수도 없고 불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우리들의 현실적인 삶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한 개인의 힘은 미미하다. 하지만 그 작은 힘을 우습게 볼 때, 정치가들은 쉽게 오만에 빠지게 된다. 역사적으로 종교 권력은 그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서 정치 권력과 결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의미에서 기독교의 세계화는 로마의 국교화(國敎化)에 힘입은 바 크다.

종교에 귀의하는 사람들의 최종 목적은 아마도 개인의 일상적인 작은 행복일 것이다. 하지만 정치, 사회적 제도의 뒷받침이 없는 개인의 행복은 사상(沙上)의 누각일 뿐이다. 그래서 깨어 있는 시민의식을 갖고, 제도적 장치의 완성을 위해서 각 개인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종교도 그러한 공동의 행복을 위해서 시민의식의 함양에 일조할 수 있을 때, 종교는 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오늘은 여기 현실 정치에 참여하는 대신, 깨어 있는 정신으로 남고자 했던 조선의 한 인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는 바로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 선생이다. 그는 조선 시대 역사적 사화(士禍)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자신의 안일이 아니라, 백성들의 고통에 귀를 기울였던 지식인 중 한 명이었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가장 많은 의병장을 배출했던 의병장들의 스승이었다.

용신용근(庸信庸謹)

한사존성(閑邪存誠)

악립연충(岳立淵沖)

엽엽춘영(燁燁春榮) 

말은 떳떳하고 미덥게 

행동은 떳떳하고 신중하게,

사악한 것은 막아야 하고 

정성스러움은 간직하며,

산처럼 우뚝하게 연못처럼 깊게 하며

찬란한 봄처럼 피어나고 피어나리

윗글은 남명 선생의 좌우명(座右銘)이다. 평생을 재야의 처사(處士)로 살았지만, 그는 늘 ‘경(敬)’과 ‘의(義)’를 마음에 품고 산 인물이었다. 백성의 마음을 하늘의 마음처럼 여겼으며, 절대왕권 앞에서도 ‘의’를 위한 일이라면 한 치의 양보도 없는 대쪽 같은 선비였다. 

‘남명(南冥)’의 의미는 『장자』에서 ‘큰 바다’를 의미한다. 비록 초야에 묻혀 지내는 선비이지만, 그의 마음은 작은 것이 아니다. 그가 평소에 지니고 다녔다는 검명(劒名)은 다음과 같다.

의내명자경(義內明者敬) 

외단자의(外斷者義)     

안으로 마음을 밝게 하는 것이 ‘경’이요.

밖으로 시비를 결단하는 것이 ‘의’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