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기고 염원하다, 팔만대장경] 미래의 한글대장경
상태바
[새기고 염원하다, 팔만대장경] 미래의 한글대장경
  • 이재수
  • 승인 2022.09.28 13: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00년의 대장경,
새로운 천년 위한
우리말 대장경

부처님의 가르침이 경전으로 전승되는 전통은 불교사의 근간이다. 경전은 뗏목으로 부처님의 진리로 인도하는 도구이지만, 말과 글은 시대와 사회적 환경의 테두리 안에 있다. 그래서 반드시 대중들에게 읽히고, 나뉘고, 소통돼야만 한다. 과거의 부처님 말씀을 현재의 우리가 알아듣고 나눌 수 있는 말과 글로 풀어내는 일들이 바로 ‘역경(譯經)’ 작업이다. 즉, 역경은 우리의 마음을 움직이고 생각을 기울여 삶으로 풀어내는 일이다. 그러한 결과가 모여 한글대장경에 담겨왔다. 

 

역경(逆境) 헤친 역경(譯經) 사업

한글대장경은 고려대장경을 한글로 번역한 우리말 대장경이다. 한국불교에서 법보로 계승돼온 고려대장경을 대상으로 한다. 고려대장경은 세계문화유산과 세계기록유산으로 그 가치를 온전히 다 가늠하기조차 어려울 만큼 거룩하고 위대하다. 그러나 한자로 판각돼 이를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조선시대에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가장 먼저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이 한글로 출간됐다. 바른 소리로 백성들에게 가르침을 펴기 위한 출발점이었다. 일제강점기 용성 스님은 1921년 ‘삼장역회’를 조직해 『금강경』, 『화엄경』을 비롯한 수많은 경전을 우리글로 옮겨 출판하며 민족정기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했다. 

한글대장경은 1962년 통합종단 대한불교조계종 출범 이후 역경사업을 중점과제로 추진하면서부터 시작됐다. 1964년 7월 21일 동국대 동국역경원이 개원했고, 고려대장경을 한글로 번역해 총 250책 한 질로 간행할 계획을 발표했다. 1965년 한글대장경 제1집 『장아함경』이 2,000부 출간되면서 한글대장경 출간사업이 그 출발을 알렸다.  

한글대장경은 당시 불교계 내부의 역량과 재정적인 지원의 한계로 계획대로 잘 진행되지 못했다. 중간에 여러 가지 사정으로 거의 명맥이 끊길 위기에 몰린 적도 있었다. 그야말로 온갖 역경(逆境)을 헤치고 이룩해온 역경(譯經) 사업은 2001년 제318책 『일체경음의색인』을 출판함으로써 완간됐다. 이로써 동국역경원이 36년간의 대장정을 거쳐 추진했던 한글대장경 출간사업도 일단 마무리됐다. 

고려대장경에 수록된 불전은 1,514부지만 318권의 한글대장경에 수록된 불전은 1,618부다. 한국 찬술 불전들을 수록한 것이다.

한글대장경은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적인 역경사업의 결실이다. 나아가 우리말 대장경 역경불사일 뿐만 아니라, 한국 찬술 불전들을 대장경에 편입해 한국불교의 자긍심을 높이고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한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크게 부여할 수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