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장경의 재조(再雕) 때 교감(校勘)을 맡았던 수기 스님의 교정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나라의 큰 보물’이자 ‘세계의 지보(至寶)’
현재 우리 사회는 코로나와 같은 국내외 사정으로 녹록지 않고 더욱 꼬여 들고 있는 듯하다. 희망이 없는 것도 아니다. 우리 민족은 오랜 역사 속에서 국내외 위기와 모순 때마다 슬기롭게 극복하고 유수한 문화·기록유산도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켜 온 다양한 역량이 있기 때문이다. 대중들에게 팔만대장경판으로 알려진 국보 해인사 대장경판의 조성불사도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야만적인 몽골의 침략으로 수도를 옮긴 지 6년이 지나던 고려 고종 24년(1237) 정유년 어느 날, 국왕과 태자·공·후·백·재신·추신 및 문무 관료들은 당시의 임시 수도 강화경(江華京, 지금의 인천 강화군)에서 목욕재계하고 부처님께 향을 피워 올렸다. 고종 황제의 명령으로 백운거사 이규보가 지은 「대장각판군신기고문(大藏刻板君臣祈告文)」이라는 글을 부처님과 보살님께 경건하게 아뢰기 위해서였다. 이보다 1년 앞서 임시적인 국가기구로 설치·운영된 고려국대장도감에서 대장경판 전체 가운데 『대반야바라밀다경』 등의 일부 목판이 처음으로 순조롭게 판각됐기에, 국왕과 신하들이 이 사실을 부처님께 아뢨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고려 국왕과 문무 관료들이 함께 다시 발원한 대장경판의 조성으로 몽골 침략의 격퇴와 나라·왕실의 안녕 등을 염원했다. 초조대장경판의 조성으로 거란의 침략을 물리쳤다는 믿음을 다시 대장경판의 판각불사로 계승·이입한 염원이었다.
팔만대장경판의 판각불사를 국가적으로 시작한 이후 16년이 흐른 고종 38년(1248) 음력 9월 임오일(25일)이었다. 국왕 고종과 문무 관료들은 강화경 도성의 서문 밖에 건립된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으로 가서 대장경판 조성불사가 일단락된 것을 축하하는 경찬회를 열었다.
월간불광 특집 기사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회원가입후 구독신청을 해주세요.
불광미디어 로그인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