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에 깃든 고려왕조, 강화도] 여몽항쟁기 강화도 천도
상태바
[섬에 깃든 고려왕조, 강화도] 여몽항쟁기 강화도 천도
  • 김경표
  • 승인 2022.08.30 13: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려 사람들,
강화도로 옮기다
『경기부 충청도 지도(京畿府忠淸道 地圖)』의 개성과 강화도 부근, 조선 후기, 수원박물관 소장

강화도 강화읍 고려산 중턱에 있는 ‘강화 홍릉’은 고려 제23대 고종(高宗, 1192~1259)의 왕릉이다. 안내판 없이는 임금의 능이라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의 초라한 규모다.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금속활자기술,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고려청자, 세계기록유산이자 국보인 팔만대장경 등 화려한 고려시대 문화를 떠올려보면 홍릉의 규모는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게다가 고려의 수도 개경 부근이 아닌 강화도에 무슨 연유로 고려 임금의 능이 있는 것일까? 800년 전 고려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누구를 위한 천도였나?

1231년(고종 18) 8월 몽골의 살리타[撒禮塔]가 이끄는 몽골군은 고려 내 친몽세력(親蒙勢力)인 홍복원(洪福源, 1206~1258)을 앞세워 고려를 침략했다. 고려 국경 지역인 북계(北界, 현 평안도 일대)의 여러 성이 삽시간에 함락됐고, 귀주성(龜州城, 현 평안북도 구성시)과 자주성(慈州城, 현 평안남도 순천군)만이 항전을 이어 나갔다. 몽골군은 이들 성을 포위하고 본대는 빠르게 수도 개경으로 향했다. 고려는 삼군을 동원해 막으려 했으나, 연이어 몽골군에게 패배하면서 순식간에 개경까지 압박받았다. 결국 12월 몽골과 화친을 맺었고, 몽골군은 북계 지역에 다루가치[達魯花赤, 점령지 파견 관리] 72명을 배치하고 철수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