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스님 되돌아보기

통도사 하면 자연스레 떠오르는 단어는 영축산이다. 원래 인도의 영축산은 부처님이 경을 설하셨던 곳이라 그 의미가 깊은데, 통도사의 산이 그와 닮아 영축산으로 불린다. 영축산의 가장 화려한 시기는 경봉정석(鏡峰靖錫, 1892~1982) 스님이 주석하면서 법문을 펼치던 때다. 살아생전 스님의 법문이 펼쳐진 1925년 극락암에서 『화엄경』을 설한 시기부터, 특히 ‘화엄산림법회’가 대대적으로 펼쳐진(큰절에서 동짓달 한 달 동안 『화엄경』 설법이 펼쳐진) 1970년부터 입적한 1980년대까지 한국불교는 영축산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그래서 ‘영축산 도인’이란 칭호로 압축해 경봉 스님을 불렀다.
인생의 4대 의혹과 한학
경봉 스님에게 『화엄경』은 수행의 요체였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가장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경이었기에 사부대중에게 기회가 있을 때마다 화엄의 세계를 알리고 가르쳤다. 그의 깨침도 화엄산림법회 기간에 성취했다. 낮에는 법사로 무량수각에서 『화엄경』을 강설하고 밤에는 스님의 처소였던 삼소굴(三笑窟)에서 정진하는 도중이었다. 어느 날(1927년 11월 20일) 새벽, 방 안에 촛불이 출렁이는 것을 보는 순간 화두를 타파했다.
월간불광 과월호는 로그인 후 전체(2021년 이후 특집기사 제외)열람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