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한거都心閑居] 파격! 또 다른 자유
상태바
[도심한거都心閑居] 파격! 또 다른 자유
  • 석두 스님
  • 승인 2022.08.08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요즘 모기가 많아 밤잠을 설친다. 죽일 것인가? 살릴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승(僧)으로 살면서 가장 곤란한 질문이 몇 가지 있다. 그중에서 모기나 파리의 생멸(生滅)에 대한 직설적 질문이다. 물론 은근슬쩍 두리뭉실하게 넘어가곤 한다. 하지만 양심에 찔리곤 한다. 살생계의 무거움이 명확하게 계율에 적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굳이 궁색한 변명을 하자면, 어찌 그 많은 계율을 다 지키며 살 수 있단 말인가? 부처님께서도 산과 강을 건너면 당신이 제정한 계율도 변할 수 있다고 하시지 않았는가. 소승의 소심한 변명은 아래 선시(禪詩) 앞에서는 더욱 부끄럽다.

“垢也塵也是何物(구야진야시하물)

元來見來更無骨(원래견래갱무골)

雖爲喰人十分肥(수위식인십분비)

瘦僧一捻歿生涯(수승일념몰생애)

이것이 때인가 티끌인가 과연 무엇인가

한 번 보고 또 봐도 하찮은 미물일세.

사람 피 빨아먹고 통통하게 살이 쪘어도

비쩍 마른 중의 손톱에 생을 마감하네.”

살생에 대한 일말의 죄의식도 찾아볼 수 없다. 그저 담담하게 제 할 일을 할 뿐이다. 비난이 두려워서 피하려 하지도 않는다. 혹자는 수행자의 계율의식이 너무 뻔뻔하고 가볍다고 비난할 수도 있겠다. 파격(破格)! 법의 성품(性品)을 본 자는 범인(凡人)의 의식을 넘어선 자이다. 

도덕, 윤리, 계율에 갇힌 자는 그 이상의 세계를 경험할 수 없다. 도덕적인 군자(君子)는 될 수 있지만, 인천(人天)의 스승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아무리 금은보화로 장식한 울타리가 좋아 보일지라도 울타리는 울타리이기 때문이다.

위 선시 ‘조(蚤) 벼룩’의 작자인 잇큐 소준(一休宗純, 1394~1481) 스님은 일본 무로마치 시대에 파격적인 행보를 보인 선승이자, 자유로운 구도자였다. 그는 천왕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일찍이 정치적인 이유로 6살의 나이에 입산(入山)한다. 1415년 교토 대덕사(大德寺)의 선사인 카소 소돈(華曳宗曇, 1352~1428)의 제자가 되어 스승의 법을 이었다. 몇 년 뒤 수행 중에 까마귀의 울음소리를 듣고 홀연 깨달음을 얻은 잇큐는 발길 닿는 대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녔다.

잇큐 선사는 기행으로 유명했지만, 혀끝으로 화두를 말하고 진리를 속이며 권력 있는 정치인에게 굽신거리는 타락한 불교를 비판하는 시를 지었다. 그렇게 불교계의 쇄신과 선종의 대중화에 힘을 기울였다. 그는 늘 목검을 들고 거리를 돌아다녔는데, 하루는 한 사람이 그 까닭을 물었다. 그러자 “이 목검은 사람을 죽일 수도 없고, 하물며 사람을 살릴 수도 없다”라고 답했는데, 이는 허식과 위선에 빠진 당시 선종에 대한 비판이었다. 선종(禪宗)을 목검에 비유해 목검으로 사람을 살리지도 죽이지도 못한다고 한 것이다. 거침없이 자유로운 삶 속에서 구도의 길을 걸었던 잇큐 선사의 행적은 ‘선즉풍류(禪卽風流), 풍류즉선(風流卽禪) - 선은 곧 풍류이며, 풍류 역시 하나의 선 - 이었다.

“十年花下理芳盟(십년화하리방맹)

一段風流無限情(일단풍류무한정)

惜別枕頭兒女膝(석별침두아여슬)

夜深雲雨約三生(야심운우약삼생)

십 년 동안 꽃 아래서 아름다운 약속 잘 지켰지.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