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마음속 관세음보살
상태바
[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마음속 관세음보살
  • 손태호
  • 승인 2022.05.26 20: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닷속 한 떨기 붉은 연꽃
<남해관음>, 견본담채, 20.6×30.6cm, 간송미술관 소장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부르면 

달 같은 얼굴 길하고 상서로운 관세음,(月面吉祥觀世音)

어려움과 고통에서 구해주시는 큰 자비심이여.(救難救苦大慈心)

버들가지 감로수 인연 따라 뿌려 주시니(楊枝甘露隨緣灑)

이 정성 다하오니 강림해주소서.(盡爾精誠致降臨)

 _ 지운영 <백의관음상찬(白衣觀音像贊)>

굽이치는 파도로 바닷물은 부서지고 다시 일어나기를 반복한다. 그렇게 넘실거리는 파도 위에 서 있으면서도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서 있는 관세음보살. 『화엄경』에서 법을 구하고자 선지식을 찾는 선재동자는 비슬지라 거사로부터 관세음보살이 계신 주처를 소개받는다. 먼 남쪽 바다로 나가면 아름다운 향, 풀과 금강보석이 깔린 보타낙가산이 있고 그곳에 관세음보살이 계신다고. 그리고 그곳에서 선재동자를 만난 관세음보살은 보살도를 실천하며 중생을 구호하는 대보살의 길을 이야기해주고 그의 명호를 부르는 것만으로도 세상 모든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알려준다. 

관세음보살은 『반야경』, 『관무량수경』, 『법화경』 등 수많은 경전에서 중생구제의 화현(化現)으로 등장해 어려움이 코앞에 닥친 중생들이 간절하고 청정한 마음으로 기도하면 그 어려움과 공포를 해결해주는 대자비행(大慈悲行)의 보살이다. 이렇게 광대한 자비심을 가진 관세음보살의 모습은 드넓은 바다에 나타나야 제격일 것이다. 김홍도의 <남해관음>은 이런 배경 속에서 탄생한 단원의 불교회화 작품 중 가장 뛰어난 명작이다.

<남해관음>과 <백의관음>

화관을 쓴 관음보살님이 넘실거리는 바다 위에 서 있다. 보발(寶髮, 머리카락)은 가지런히 빗은 정갈한 모습으로 길게 늘어졌고 아주 부드러운 필선으로 옷자락을 겹겹으로 풍성하게 표현했다. 이런 의복 표현은 마치 떠가는 구름과 흐르는 물과 같다는 행운유수묘(行雲流水描)라 불리는 바닷물 표현과 같아 바다와 관음이 자연스럽게 연결돼 마치 바다에서 솟아오른 듯한 생동감을 보여준다. 바다와 하늘은 둘 다 푸른빛이고 머리 뒤로는 ‘두광 같은 달’, ‘달 같은 두광’을 표현했는데 달을 직접 그리지 않고 주변의 구름을 그려 마치 달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홍운탁월(烘雲托月)’ 기법이다. 달이자 두광으로 보이는 이중적 표현은 김홍도의 재치 있는 감각이다. 관음보살은 몸을 살짝 돌린 채 얼굴만 좌측을 바라보며 세상 그 어떤 괴로움도 품어줄 것 같은 미소를 머금고 있다. 이런 자세와 미소는 기존 예배용 불화와는 다른 미감을 보여준다. 

관음보살 뒤에는 양류 가지가 꽂힌 정병을 들고 선재동자가 서 있다. 쌍계머리(양쪽으로 틀어 올린 머리)를 한 채 부끄러운 듯, 마치 엄마 뒤에 숨는 어린아이처럼 얼굴 한쪽을 가린 채 앞을 바라보고 있는데 이 또한 기존 수월관음도에서 볼 수 없는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대자대비한 관음보살이 선재동자 앞에서 세상 그 어떤 고난도 다 막아주겠다는 듯 서 있는 모습이다. 오른쪽 위 낙관은 단원(檀園)이라 적고 사능(士能)이란 인장을 찍었다. 나머지 글씨는 후배 송월헌(松月軒) 임득명(林得明, 1767~?)이 쓴 글로 내용은 이렇다. 

쓸쓸히 홀로 벗어나 메인 데 없으니 

구름 자취 학 모습 더욱 짝할 수 없네  

이미 삼천리 안에 앉지도 않았고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