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부처를 그리다
상태바
[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부처를 그리다
  • 손태호
  • 승인 2022.05.26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석가출산도’와 ‘묘길상’
<석가출산도>, 18세기, 지본담채, 69.6×133.5cm, 일본고려미술관

석가모니 부처님을 그리다

“사리불이여, 무엇을 일러 모든 부처님이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으로 세상에 출현한다고 하는가. 모든 부처님은 중생으로 하여금 불지견(佛知見, 부처님의 지혜)을 열어주어서 청정함을 얻게 하려고, 중생에게 불지견을 보이려고, 중생으로 하여금 불지견을 깨닫게 하려고, 중생으로 하여금 불지견도에 들어가게 하려고 세상에 출현하시느니라.”

 __ 『법화경』

18세기 조선 궁중 화원 단원 김홍도는 풍속, 인물, 산수, 초상, 영모, 화조 등 거의 모든 주제의 그림을 두루 잘 그렸다. 그래서 정조(재위 1776~1800)의 신임이 매우 두터워 정조가 1790년 아버지 사도세자 묘 화성 융릉 옆에 원찰인 용주사를 세울 때 불화 제작을 김홍도에게 주관하게 했다. 그렇게 불교와 직접 인연을 맺은 김홍도는 이후 불교 주제의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는데 그렇게 탄생한 작품들은 비록 크기가 작고 제발(題跋, 발문)이 있는 경우도 드물지만 오묘한 불교적 이해가 바탕이 된 작품들이라 의미가 적지 않은 작품들이다. 

김홍도의 불교회화는 관음보살과 달마, 고승과 산사 등을 그린 작품들이 많지만 직접 부처님을 묘사한 작품도 있다. 그중에서 <석가출산도(釋迦出山圖)>는 김홍도의 감상용 불교회화 중 석가모니 부처님을 직접 묘사한 유일한 작품일 뿐 아니라 궁중 화원 전체로도 단 한 점밖에 없어 그 의미가 매우 큰 그림이다.  

아직 수행자인 석가모니께서 얇은 대의 한 장을 걸치고 맨발로 설산을 내려온다. 곱슬곱슬한 나발과 중간에 보이는 민 머리가 마치 중앙계주를 연상케 한다. 얼굴은 매우 피곤해 보이며 깎지 못한 수염이 덥수룩해 그동안의 고생을 짐작게 한다. 구불거리는 납의(衲衣)의 선은 김홍도가 불보살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한 선이다. 

대의 끝자락이 펄럭이고 있어 마른 육체가 더욱 애잔해 보인다. 뒤에는 커다란 달이자 두광이 마치 앞으로의 성불을 예견하듯 비취고 있다. 이런 ‘달이자 두광, 두광이자 달’ 이중적 표현은 <남해관음>에서도 볼 수 있는 표현법이다. 이 작품의 관지(款識)는 ‘金弘道謹寫(김홍도근사)’라고 자신을 많이 낮추고 있어 특별히 윗사람과 관련된 그림으로 추정되는데 평소 존경하던 스님을 위해 그린 작품인지도 모르겠다. 

경전에서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출현하신 것은 중생을 위한 ‘일대사인연’으로 오셨다고 한다. 즉, 부처님이 되어 중생에게서 무명의 어둠을 걷어주시기 위해 수많은 과거세의 인연 공덕을 모아 우리 곁에 오신 것이다. 그렇게 많은 과거의 복덕을 쌓은 부처님도 깨달음의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 여러 가지 방식의 수행을 시도하며 진정한 깨달음의 길을 찾기까지는 고뇌와 고난의 시간을 거쳐야 했다. 

출가 초기에는 선정 수행의 대가를 찾아가 명상을 중심으로 한 수행을 했으나 선정만으로 자신의 근본 의문을 해결할 수 없음을 깨달았다. 그 후 고행림(苦行林)에서 육체적 고행을 통해 정신적 희열을 얻는 수행을 시작한다. 이 수행은 인간 욕심의 근원인 육체의 즐거움을 없애기 위해 6년 동안 먹고 자는 것도 잊은, 인간이기를 포기한 험난한 고행이었다. 부처님은 그 시절을 ‘낡은 수레가 허물어지듯 내 몸도 그렇게 허물어져 뜻대로 되지 않았다. 내 엉덩이는 낙타 다리 같았고, 손으로 배를 누르면 등뼈가 닿았다. 몸이 이처럼 쇠약해진 것은 다 내가 먹지 않았기 때문이었다’라고 회상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