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화폭에 담은 스님들
상태바
[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화폭에 담은 스님들
  • 조정육
  • 승인 2022.05.26 2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홍도의 불교적 삶과 그림
<탁발>, 《단원 풍속도첩》(보물), 지본담채, 24×28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金弘道, 1745~1806년경)는 한국회화사에서 가장 위대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사람들은 그를 ‘가장 뛰어난 화가’ 또는 ‘가장 조선적인 화가’로 불렀고 그를 향해 ‘신필(神筆)’이라 칭송하는 데도 주저하지 않는다. 산수화, 인물화, 화조영모도는 물론이고 진경산수화, 고사인물화, 풍속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다. 그는 많은 사람에게 풍속화가로 알려져 있지만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 분야에서도 훌륭한 작품을 남겼다. 도석인물화는 도교와 불교의 예배 대상인 여러 존상(尊像)들을 대상으로 그린 인물화다. 이 글에서는 김홍도의 불교회화 중 스님과 관련된 그림을 그의 생애와 관련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풍속화 속의 스님의 모습

김홍도는 1745년(영조 21)에 김해 김씨 무반 집안의 서얼로 태어났다. 그는 10~14살 무렵에 안산에 사는 강세황(姜世晃)에게 그림을 배웠다. 강세황은 당시 ‘시서화 삼절(詩書畵 三絶, 시·서·화 세 가지가 모두 뛰어난 사람)’로 알려졌는데 그와의 인연은 평생 지속됐다. 김홍도는 심사정(沈師正)에게도 그림을 배운 것으로 알려졌다. 10대 시절을 두 대가에게 그림을 배운 후 20세가 되기 전 도화서 화원으로 임용됐다. 그는 20대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는데 29세 때(1773)는 어용화사가 되어 영조 어진 제작에 참여했다. 어진 제작 후 그 공로를 인정받아 종6품 주부직에 임용되었고 이어 별제직으로 발령받았다. 이때 김홍도는 주로 ‘사능(士能)’이라는 자(字)를 썼다. 30세(1774)에는 사포서 별제로 자리를 옮겼는데 이때 스승인 강세황과 6개월 정도 함께 근무했다. 이 무렵에 그는 도교의 신들을 그린 <군선도(群仙圖)>(삼성미술관 리움 소장)를 제작했다. 32세(1776)에는 종6품 울산 감목관 자리로 발령받았고, 영조의 승하로 보불(黼黻) 작업을 위해 한양에 오가는 등 관직 생활과 그림 작업을 지속했으나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한양으로 돌아왔다. 그 후 37세(1781)까지 4년 동안 관직 없이 지냈다. 

40세가 되기 전까지 김홍도는 특별하게 불교에 대한 신앙심을 가진 것 같지는 않다. 이 시기에 그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탁발>을 보면 스님을 그리되 특별한 예경심을 담았다기보다는 당시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속의 한 장면으로 인식한 것을 알 수 있다. <탁발>은 《단원풍속화첩(檀園風俗畵帖)》에 들어 있는 작품이다. 이 화첩에는 <타작>, <씨름>, <주막>, <새참> 등 우리가 많이 보았던 풍속화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탁발> 또한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다채롭게 표현한 한 장면으로 포함됐을 뿐이다.

이런 추측은 그가 35세(1778)에 그린 <서원아집도6폭병풍>과 부채에 그린 <선면서원아집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는 북송(北宋)의 수도 개봉에 있는 왕선(王詵, 1036~1089)의 정원인 서원(西園)에서 1087년에 소식(蘇軾), 이공린(李公麟), 미불(米芾) 등의 문인들과 도사 진경원(陳景元), 원통(圓通) 스님 등 당시 내로라하는 명사들이 모여 아회(雅會, 글 짓는 모임)를 열었던 장면을 그린 것이다. 서원아집도는 아회에 참가한 참가자들이 시서화를 즐기고 음악을 연주하고 고동서화(古董書畵, 골동품과 글씨·그림)에 빠진 모습을 통해 당시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는 모습을 반영했다. 

두 작품 중 <서원아집도6폭병풍>에는 맨 왼쪽 끝에 스님이 유자(儒者)와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보인다. 스님의 모습은 다른 인물들에 비해 특별히 강조하지는 않은 듯하다. 이는 기존에 내려오던 서원아집도의 형식을 답습해 큰 변화 없이 인물을 배치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작품 또한 <탁발>과 마찬가지로 30대의 김홍도가 불교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울산에서 상경한 김홍도는 4년간 관직 없이 지내면서 창작에 몰두했는데 강희언(姜熙彦), 신한평(申漢枰) 등 동료 화가들과 함께 공적, 사적 수응화(酬應畵, 사람들의 요청으로 그려준 그림)를 그렸다. 또한 홍신유(洪愼猷) 같은 여항시인(閭巷詩人), 후기의 최대의 수장가 김광국(金光國), 성호학파의 대표적인 학자 이용휴(李用休) 같은 문인사대부들과도 폭넓게 교류했다. 이용휴는 김홍도를 “인품이 매우 높아 고상한 선비와 운치 있는 시인의 풍모를 지녔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