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왕의 뜻을 받들다
상태바
[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왕의 뜻을 받들다
  • 김남희
  • 승인 2022.05.26 1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조, 아비의 극락왕생을 빌다
<주부자시의도>, 1800, 견본담채, 각 40.5×125cm,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김홍도가 정조에게 진상하기 위해 주자의 시를 그린 ‘주부자시의도(朱夫子詩意圖)’ 8폭 병풍. 그중 6폭이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돼 있다. 이 병풍을 본 정조는 “김홍도가 주자의 뜻을 깊이 얻었다”며 폭마다 시로 화답할 정도로 극찬한 작품이다.

그토록 염원하던 자식을 얻었다. 뛸 듯이 기뻤다. 그것도 잠시, 눈을 뜨니 꿈이었다. 나이 48세가 되도록 자식이 없었다. 며칠 전 공정산(公正山) 상암사(上菴寺)에서 본 불상이 생각났다. 상암사로 향했다. 빛바랜 불상을 개금(改金)하고 박락된 탱화에 색을 올리며 사찰 곳곳을 보수했다. 그 후, 꿈은 현실이 됐다. 아들 긍원(肯園) 김양기(金良驥, 1792~1842년경)를 얻은 것이다. 

단원(檀園) 김홍도가 시주한 이야기다. 이 내용은 「연풍군 공정산 상암사 중수기(延豊郡公正山上菴寺重修記)」에 전한다.

 

용주사 <삼세불탱화>를 조성하다

김홍도는 정조(正祖, 1752~1800) 덕분에 상암사와 인연을 맺었다. 1790년 화성 용주사 <삼세불탱화(三世佛幀畵)>와 이듬해 10월 정조 어진의 동참화사로 참여한 김홍도는 순조롭게 임무를 마친 대가로, 충청도 연풍 현감으로 제수받는다. 1792년 1월 부임한 그해에 연풍에는 기근이 들어 굶주리는 백성들이 늘어나고, 가뭄으로 농사마저 지을 수가 없었다. 김홍도는 영험한 공정산 상암사에 기우제를 지내러 갔다. 상암사를 둘러보니, 불상은 빛이 바랬고 탱화는 색채가 떨어져 있었다. 이를 본 김홍도는 시주하여 상암사를 중수하게 했다. 

풍속화로 알려진 김홍도는 사실 <신선도(神仙圖)>를 그려서 이름을 얻었다. 정조의 신임이 두터워서, 큰 화업에 대거 참여했다. 세 차례 왕의 어진 제작과 용주사의 <삼세불탱화>를 조성하는 데 혼신을 다했다. 왕실에서 거행하는 주요 행사를 그림으로 기록한 『의궤(儀軌)』와 《화성능행도8폭병풍》을 화원들과 제작했다. 이후, 불교를 주제로 한 보살도와 노승을 그린 작품을 그렸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1735~1762)에 대한 효심이 지극했다. 11세에 아버지의 죽음을 목격한 정조의 정치는 당파간 정치세력에 균형을 꾀한 탕평책이었다. 수도 한양을 화성(지금의 수원)으로 천도하는 계획을 세웠다. 먼저 화성에 아버지의 극락왕생을 빌기 위한 절을 지었다. 1790년 2월 용주사 터를 닦고 불상을 모셨다. 9월에는 대웅전에 후불탱화를 조성했다. 김홍도는 당대 유명한 화원 화가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 이인문(李寅文, 1745~1824)과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 그리고 화승(畵僧)들과 <삼세불탱화>를 제작했다.

후불탱화는 대웅전에 모셔진 본존불 뒷벽에 있는 탱화를 말한다. 후불탱화는 석가모니가 인도 기사굴산(영취산)에서 10대 제자와 대중을 모아놓고 설법한 광경을 묘사한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이다. 용주사 대웅보전에 모셔진 후불탱화는 <삼세불탱화>로, 약사여래불과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및 그 권속들을 그렸다. 이와 같은 도상은 규모가 큰 사찰에서 삼세불(三世佛)이나 삼신불(三身佛)을 각각 따로 그려서 3폭을 봉안하는 것이 18세기에 유행했던 후불탱화의 양식이었다. 19세기가 되면 삼세불과 삼신불을 1폭에 그린다.

용주사 <삼세불탱화>는 크게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상단에 위치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약사여래불, 아미타불이 푸른색 연화좌에 앉아 있다. 부처의 정상계주에서 두 갈래의 빛이 높게 올라 천상의 세계를 밝힌다. 부처의 광배 뒤로 흰색 바탕에 붉은색 선을 그려서 꽃처럼 피어오르게 하여 부처의 공간을 성역화했다. 그 뒤로는 제자와 용녀, 용왕, 제석천왕, 대범천 등 대중의 얼굴을 배치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