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김홍도의 삶과 그림
상태바
[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김홍도의 삶과 그림
  • 진준현
  • 승인 2022.05.26 1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승 강세황과의 만남,
대大화가 김홍도의 탄생
필자 미상, <강세황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스승 표암 강세황은 뛰어난 글씨, 그림, 시를 남긴 문인화가이자 시인으로 ‘시서화 삼절’로 불렸다. 관직은 지금의 서울 시장에 해당하는 한성 판윤을 지냈다.

그 스승에 그 제자, 강세황과 김홍도

한국인에게 가장 친숙한 옛날 화가를 들라면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년경)일 것이다. 김홍도는 일찍부터 국민화가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런 점은 단원( 檀園)의 ‘園’ 자를 넣은 많은 후대 화가들의 호가 있는 점을 보면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긍원(肯園) 김양기, 혜원(蕙園) 신윤복, 초원(蕉園) 김석신과 이수민(호가 동일), 희원(希園) 이한철, 오원(吾園) 장승업 등이 있다. 특히 오원 장승업은 조선시대를 통틀어 안견, 김홍도와 함께 3대 화가로 꼽히는 인물인데, 김홍도를 의식해 “나도 원이다”라는 뜻의 ‘오원’으로 자호한 것을 보면 조선 말기까지 단원의 명성이 절대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유명한 김홍도는 어떻게 조선 후기 최고의 화가가 될 수 있었을까?

김홍도는 평범한 김해 김씨 집안의 아들로 경기도 안산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윗대에는 낮은 벼슬을 한 적이 있으나 조부, 부친대에는 벼슬이 없는 서민 집안 출신이다. 김홍도가 안산 출신임을 짐작하는 근거는 그의 스승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이 쓴 「단원기(檀園記)」 기록을 통해서다. 강세황은 김홍도가 어린 시절부터 자기 문하에서 배웠다고 했는데, 그때는 강세황 자신이 안산에 있던 처가 근처로 내려가 30년간이나 살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강세황은 어린 김홍도를 발견하고 그의 재능을 일찍부터 키워줬던 것이다. 그런데 강세황이 누구인가? 강세황은 영조 후반부터 정조대에 걸쳐 예술계의 우두머리에 해당하는 인물이었다. 그는 ‘시서화 삼절(詩書畵 三絶, 시·서·화 세 가지가 모두 뛰어난 사람)’로 불리며 당대 유명한 예술가들과 어울렸다. 안산은 당시 실학자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 선생과 그 제자, 친지들이 살고 오가던 문화중심지였다.

강세황과의 만남은 대(大)화가 김홍도의 성장에 결정적 계기가 됐다. 강세황은 명문 집안 출신이었으나 60세가 되기 전에는 처가가 있는 안산에 내려가 살 정도로 집안이 넉넉하지 못했다. 그러나 강세황은 명필로, 당대 최고의 문인화가로, 시인으로 이름이 난 사람이었다. 강세황의 안목(眼目)이 대화가가 될 김홍도를 알아보고 일찍부터 이끌어준 것이다. 김홍도는 그런 강세황을 스승으로 존경하고 따랐음을 <균와아집도(筠窩雅集圖)>에 그려진 그의 공손한 모습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최고의 스승을 만나 성장한 김홍도. 스승과 친하던 심사정, 허필, 최북 같은 유명한 화가들과도 일찍 가까이 어울렸던 김홍도는 자신의 천재성을 갈고 닦았다. 그래서 곧 도화서(圖畵署, 그림 그리는 일을 담당하던 조선시대 관청)에 뽑혀 들어가고, 이어 최고들만 모인 도화서 내에서도 제일인자로 이름을 날리게 됐다.

 

옥(玉) 같은 모습, 난초 같은 향기

대화가 김홍도는 어떻게 생겼을까? 아쉽게도 당시에 그의 초상화가 그려진 기록은 있으나 실물은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어릴 때부터 지켜본 스승 강세황은 「단원기」에서 “용모가 아름답고 속에 품은 뜻이 맑다”라거나 “풍신(風神)이 뛰어나 진(晋)나라 송(宋)나라의 고사(高士)와 같다”라고 했다. 제자라서 이쁘게 본 것일까? 그러나 다른 많은 사람도 한결같은 증언을 한다. 

성호 이익 선생의 조카로 당대 문단의 거목이었던 이용휴(李用休, 1708~1782)는 지금은 전하지 않는 김홍도의 초상화를 보고 지은 글에서 “오늘 군의 초상화를 보니 옥(玉) 같은 모습, 난초 같은 향기가 들은 바보다 훨씬 낫구나. 이는 한 온아한 군자의 모습이다”라고 극찬했다. 또 후대의 화가 조희룡(趙熙龍, 1789~1866)은 『호산외기(壺山外記)』에서 “아름다운 풍채에 도량이 크고 넓어 작은 일에 구애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신선과 같다고 했다”라고 기록했다. 

이런 뛰어난 외모를 가진 김홍도는 성품도 온화하고 겸손해 그를 만난 많은 사람이 좋아했다고 한다. 덧붙일 점은 김홍도는 음악에도 정통했다. 스승 강세황은 “(김홍도가) 음률에도 해박해 금적운사(笒笛韻詞, 거문고와 대금, 문장)에 그 묘함을 다하였다”라고 했고, 김홍도와 함께 경상 감사를 수행해 안동 청량산을 노닐었던 유명한 문인 성대중은 김홍도가 부는 피리소리에 대해 “멀리서 들으면 필시 신선이 학을 타고 생황을 불며 내려오는 것이라 할 것”이라고 기록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