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시작과 끝, 경주 남산] 골골[谷谷]마다 불상
상태바
[신라의 시작과 끝, 경주 남산] 골골[谷谷]마다 불상
  • 주수완
  • 승인 2022.04.28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주 남산의 불상과 화강암 예술의 궤적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보물). 감실부처님으로 ‘할머니부처’라고 불린다. 명상에 잠긴듯 편안히 쉬고 있는 모습이다. 남산의 석불 중 가장 오래된 불상으로 꼽히며 석굴사원의 선행 양식으로 일컫는다.

남산에 수많은 불상이 조성되어 있다는 것은 공간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이 불상들이 동시에 조성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 조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시간적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남산을 걷는다는 것은 ‘산’이라는 공간을 걷는 것임과 동시에 ‘신라’라는 시간을 걷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한국 조각사에 있어 화강암 조각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금동이나 목조, 소조와 달리 석조는 돌의 재질에 따라 조각기법에 큰 차이가 있는데, 무엇보다 그 돌이 얼마나 단단한 재질인가에 좌우된다. 돌이 단단할수록 정교한 조각은 어려워진다. 화강암은 그러한 돌 중에서도 가장 단단한 축에 들어 조각이 여간 힘들고 까다로운 것이 아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조각이 덩어리처럼 뭉쳐있는 단순한 형태에서 점차 평면적이면서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표현기법으로 단점을 보완해 나가는 발전과정을 보인다. 남산은 불상에서 그러한 과정을 모두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은 곳이다. 

이 글에서는 남산의 많은 석조불상 중에서도 특히 예술적으로 주목해야 할 대표적인 작품들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불곡 마애여래좌상(감실불상)

이 불상은 남산의 불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불상 중 하나로서 ‘할매불상’이란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마치 밭일하는 할머니가 햇볕을 막기 위해 머리에 수건을 걸치고 일하는 모습 같다고 하여 붙여진 별명이다. 불교도상에서 이처럼 두건을 걸친 경우 보통은 지장보살로 보기도 하지만, 이 불상이 삼국시대 말기에 조성된 것을 생각해보면 아직 지장보살 도상이 유행하기 전이고, 나아가 정수리 부분에 육계처럼 솟은 부분이 있는 것을 보면 부처를 표현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그러나 손의 모습이 부처의 수인인 선정인도 설법인도 아닌, 마치 양손을 포개어 소매에 넣은 듯한 모양이라 일반적인 부처님의 모습은 아니다. 가부좌도 오른발이 앞으로 내려와 있는 모습이어서 완전한 결가부좌가 아니다. 이러한 좌법은 충주 봉황리의 마애불상군에서도 보이는 좌법인데, 봉황리 마애불상군이 삼국시대 6세기 중·후반으로 편년되기에 서로 유사한 표현을 지닌 감실부처님도 조성 시기를 그만큼 올려볼 수 있을 것 같다. 

부처님의 얼굴 부분만 입체적으로 조각하고, 몸은 평면적이면서 옷주름은 선각으로 처리한 데에서 화강암 조각의 어려움을 엿볼 수 있다. 손을 소매가 감춘 것도 복잡하고 정교하게 표현되어야 할 부분을 교묘하게 생략하기 위한 방편으로 보인다. 더구나 감실 안에 있어 조각가는 작업에 더욱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부처님은 어떤 부처님을 묘사한 것일까? 두건을 쓰고 계신 것일까, 아니면 머리카락과 귀 부분이 명확히 나뉘지 않아 그저 두건처럼 보이는 것일까? 만약 머리 위에 무엇을 쓰고 있는 것이 맞다면, 마치 김명국의 <달마도>에 보이는 달마대사처럼 가사로 머리를 덮고 동굴 속에서 면벽수행(面壁修行)하고 있는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특히나 이 불상은 일부러 동굴처럼 감실을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석굴 수행, 전정각산 유영굴 수행과 같은 동굴수행을 염두에 둔 것으로 참선 수행자로서의 부처님의 모습을 강조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