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을 든 스님] 의승군의 불교사적 가치
상태바
[칼을 든 스님] 의승군의 불교사적 가치
  • 오경후
  • 승인 2022.03.29 1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억불 시대의 승군, 불교를 일으키다
<서산대사화상당명병서(西山大師畵像堂銘幷序)>(보물), 정조 친필. 서산대사 입적 후 180여 년 지난 1788년(정조 12) 대흥사에 서산대사와 유정, 처영대사를 모시는 표충사가 건립됐다. 1794년 대흥사에 서산대사의 진영이 봉안되자, 정조는 친히 지은 <서산대사화상당명>과 그 서문을 써서 대흥사에 내려보냈다. 대흥사 성보박물관 소장

의승군의 활약

임진왜란은 선조 25년(1592) 4월 왜군의 동래성(東萊城) 침략으로부터 시작됐다. 최초의 의승군인 공주 갑사의 영규(靈圭) 스님은 800명의 의승군을 거느리고 일본군과 접전을 벌였다. 이후 8백 의승군은 조헌(趙憲)의 7백 의병과 합세해 그해 8월 왜적에게 함락당한 청주성(淸州城)을 수복했다. 왜란 발발 이후 첫 승전이었다.

의승군의 본격적인 활동은 선조 25년부터였다. 피난길에 오른 선조가 의주(義州) 행재소(幸在所)에 머물 때 승병모집을 위해 묘향산(妙香山)에 있던 서산대사 청허휴정(淸虛休靜) 스님을 부른 이후부터 의승군은 전국적으로 확대됐다. 휴정 스님은 나라를 구할 것을 간곡히 부탁하는 왕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왕은 그에게 8도16종도총섭(八道十六宗都摠攝) 직을 내려 전 승군을 관장하게 했다. 이후 휴정 스님은 전국 8도 사찰에 격문을 보내 궐기할 것을 호소하고 73세의 노령으로 승군 1,500명을 거느리고 순안 법흥사에 주둔했다. 이후 법흥사의 의승군 수는 5,000여 명에 이르렀다. 그 밖에 호남 지리산에서 처영(處英) 스님 또한 의승군을 모아 봉기했다.  

휴정 스님은 선조에게 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가지 못할 스님은 절을 지키게 하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자신이 통솔해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고 했다. 늙고 어린 스님을 제외한 모든 스님이 유사시에는 승군이었다. 위로는 궁극의 깨달음을 얻고 아래로는 자신뿐만 아니라 부모와 시주, 그리고 국왕과 나라를 위해 산중에서 수행해야 하는 수행자의 본분이었지만, 나라와 백성이 곤란에 처했을 때는 스님들이 계율을 어기고 칼과 창을 들어야 했다. 당시 의승군은 중앙에 도총섭(팔도십육종도총섭)을 두고 그 아래로는 전국 8도에 각각 선·교 양종 2명씩 16명의 총섭을 둔 조직체계였다. 조정으로부터 임명돼 직첩을 받았던 도총섭과 총섭은 ‘군대를 이끌고 왜적을 토벌한 승려[領軍討賊之僧]’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도총섭·총섭의 지휘를 받는 의승군은 도원수(都元帥)의 지휘하에 관군과 협력 또는 독자적으로 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군량 운송과 산성 축성 등 후방지원을 담당하며 준관군(準官軍)의 형태로 활동했다.

임진왜란 초기 대규모의 의승군은 지상전뿐만 아니라 해전에서도 활약했는데, 1592년 10월 이순신 장군이 조직한 의승수군은 300여 명이나 됐다고 한다. 선조 26년(1593) 4월 서울이 수복되고 왜적이 남하해 전황이 소강상태로 접어들면서부터 의승군은 군량 운송, 산성 축성, 둔전(屯田) 개간, 땔감 마련 등 전쟁물자 비축의 임무를 수행했다. 

상이 정원에 전교하기를 “휴정은 비변사의 계사(啓辭)에 따라 당상관에 제수했는데 방외(方外)의 노승에게 당상관이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근래 승려들이 적을 참획(斬獲)한 것은 모두 휴정의 통솔에 의한 것이니, 그에게 비단 1필을 하사하고 그의 제자에게는 공이 있는 사람의 아들과 사위, 동생과 조카에게 관직을 제수하는 예에 따라 군직을 제수하기도 하고 면역시키기도 하되 그들이 원하는 대로 하게 하라”하니, 비변사가 획계하기를 “사미에게 군직을 제수하거나 면역시키는 일은, 그중에 특출하여 칭송할 만한 자로는 속명이 곽언수(郭彦秀)인 의엄과 속명이 변헌(卞獻)인 쌍익(雙翼)이 있습니다. 의엄은 전에 왜적을 만났을 때와 군량을 모집할 때에 모두 공이 있었는데도 관직을 원하지 않았고 지금도 관직을 원하지 않고 선가(禪家)의 판사(判事)가 되기를 원하니, 해당 부서로 하여금 원하는 대로 직첩을 주게 하소서. 변헌은 이미 사정(司正)을 제수하였으니 사과(司果)로 승진시키소서” 하였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