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스님 되돌아보기] 초부 적음
상태바
[근현대 스님 되돌아보기] 초부 적음
  • 효신 스님
  • 승인 2022.03.18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약사여래의 화신,
보살행의 외호승
초부 적음(草夫寂音)
1936년 10월 4일자 조선일보 3면 ‘가을의 이 표정, 저 표정(4)’에 실린 적음 스님. 이때 스님은 30대 중반이었다. 

내일이 오늘을 담보로 존재하듯, 오늘은 어제의 시간을 견뎌낸 대가이다. 현재 한국불교도 마찬가지다. 오랜 역사의 고비마다 법등(法燈)이 꺼지지 않게 등불을 지킨 스님들이 있었기에 오늘 우리 불교가 존재한다.

오늘 불교는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 제국주의 한국불교 말살 정책에 항거하며 지켜낸 결과이고, 아울러 해방 후 불교정화운동의 과정에서 이루어낸 청정승단이기도 하다. 여기까지 오는 동안 온 힘을 다해 이 길을 닦은 스님이 있다. 일제 강점기부터 청정승단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불교 초석을 마련한 스님, 초부 적음(草夫寂音)이다. 뛰어난 침술의 한의사 출신인 스님은 기꺼이 외호 소임을 맡아[사판승(事判僧)으로], 법등의 기름이 되어 스스로를 불태웠다. 그의 외호 보살행이 없었더라면 오늘 한국불교는 존재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적음(寂音)이라/ 고요 속에 소리가 있네/ 그대 법명은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라는 경봉 스님의 말처럼 조용히 한국불교 뒷바라지에 평생을 바친다.

 

만공 스님의 일언 “중생의 약이 돼라”

적음 스님은 대한제국 광무 2년(1898) 2월 11일 경북 군위군 효령면 불로동에서 태어났는데, 본관은 김해 김씨로 속명은 영조[永祚, 족보명은 영곤(永坤)]이다. 스님은 7살 어린 나이에 원인 모를 불치병을 앓게 되자 당숙의 친구 한의사에게 의탁해 마산에 머물면서 치료받게 됐다. 이때 침으로 병이 낫게 된 것을 계기로 한의학과 한학을 배워, 20세가 되기도 전에 이미 그의 의술은 신침(神鍼)으로 소문이 났다.

1920년, 서울 종로구 재동에 경성한의원을 개원했다. 환자 중에는 이광수, 최남선 등 신지식인들과 독립운동가들이 많았다. 범어사 동산 스님의 외삼촌이자 천도교 대표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위창 오세창은 3년간 옥고를 치르고 중병이 들어 평생을 고생했는데, 훗날 적음 스님에게 치료를 받고는 완쾌됐다고 한다. 3·1 만세운동은 스님의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건이었다. 그날 이후 외세의 침략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계몽이라 생각헤 독서와 공부에 매진하고, 해방될 때까지 은밀하게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다. 특히 출가 후, 1940년에 호국불교병원 ‘대비원(大悲院)’을 운영할 때는 애국지사들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해 그들의 모든 편의를 봐주었다. 김구, 여운형, 장덕수, 공초 오상순 등이 대비원에 왕래했다. 

적음 스님은 경성한의원에 치료받으러 오는 스님들과 법담을 나누다가, 1924년에 직지사로 출가했다. 직지사 조실이자 경허 스님의 지도를 받았던, 제산 정원(霽山淨圓, 1862~1930) 스님을 은사로 ‘적음(寂音)’이라는 법명을 받는다. 제산 스님이 입적하자 만공 스님은 일찍 스승을 여읜 적음 스님에게 울타리가 필요하다고 여겨 당신의 제자로 거두었다. 뛰어난 침술로 스님들뿐만 아니라 병원에 가지 못하는 가난하고 힘겨운 사람들을 정성껏 돌보는 적음 스님의 자비심을 본 만공 스님은, “그대는 약초에 연(緣)이 있어 이로 인하여 무수한 병자를 구제하나니 이제 일체중생의 약이 되어 스스로 돕는 바가 돼라”며 ‘초부당(草夫堂)’이라는 당호를 내린다. 건당식(建幢式, 법맥을 계승하는 의식)은 사부대중의 축하 속에서 치러졌는데, 그 사진에는 만공·용성·만해·석우·용음·동암 스님과 오세창 등 당대 선지식들이 참석했다.

 

깨달음과 같은 수행 대중 볼보는 일

일본 제국주의는 식민통치 목적으로 호국과 호법을 앞세워 불교라는 같은 옷으로 한국 침략의 당위성을 전파했고, 포섭된 친일 이회광의 한국불교 중앙기관 원종(圓宗)은 1910년 3월 연합이라는 형식으로 일본의 조동종에 예속하려는 조약을 체결하려 했다. 그러자 1911년 1월 영호남 스님들을 주축으로 “조선(한국)불교의 연원은 임제종에서 발원했다”는 임제종 설립 운동이 일어나 다행히 조약은 성립되지 못했다. 임제종 운동은 백용성, 오성월, 박한영, 한용운 등을 주축으로 한 항일운동이었지만, 그 근원은 한국불교 정체성인 수행의 본질을 지키는 데 있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