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절로 소확행#] 지리산 화엄사 구층암
상태바
[저절로 소확행#] 지리산 화엄사 구층암
  • 최호승
  • 승인 2022.01.3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과나무와 기둥, 곶감
저마다의 시간이 흐른다
다향사류 지붕을 받치고 사는 모과나무 기둥 곁에서 곶감이 익어간다. 

 

간혹 절에 들렀다가 뜻밖에 시간이 느리게 가는 모습을 본다. 나무 기둥이다. 세월이 단청을 벗겨낸 나무 기둥의 담백함, 제멋대로 휜 자유로움, 그런데도 저 무거운 지붕을 떠받치는 책임감과 신기함…. 넋 놓고 바라보는 이의 시간도 더디 간다. 나무 기둥이 곱게 늙은 절집을 찾았다. 지리산 화엄사 산내 암자 구층암이다. 

완성하지 않은 늙음, 모과나무 기둥

화엄사 대웅전 뒤쪽으로 난 오솔길 끝에 구층암이 있다. 구층암 현판 걸린 요사채 앞에 삼층석탑 하나 놓였다. 요사채와 탑, 모두 곱게 늙었다. 겨울 오후 햇볕에 탑의 몸에 가부좌한 부처님이 도드라졌다. 1961년 9월 주변에 흩어진 돌조각들을 맞춰 올린 게 이 탑이다. 

암주 덕제 스님은 이미 차를 내리고 있었다. 차 향기가 사방으로 흘러나갔다. 다향사류(茶香四流)라는 이름이 아깝지 않았다. 과거 이곳은 선방이기도 했다. 화엄사 주지였던 도광 스님이 구층암에 선원을 개설했고, 일타 스님 역시 방부를 들이기도 했다. 정찬주의 소설 『인연』을 보면 일타 스님이 정진했던 도량이 구층암이었다. 

덕제 스님은 화엄사와 구층암 일원 야생차밭에서 딴 찻잎으로 차를 내렸다. 1995년 10월 마지막 밤 열차 타고 화엄사에 들어온 스님은 18년째 차를 만드는 내공으로 차를 내렸다. 뜨거운 찻물에 공기가 차분하게 흐르기 시작했다. 저 절에 가면 저절로 느끼는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에 반올림[#]할 수 있는 사찰을 쓴다는 ‘저절로 소확행#’ 연재를 설명했다. 그러자 스님은 “마음 편안해지려고 오는 거야”라며 따뜻한 차 한 잔 더 내렸다. 예사롭지 않은 이름, 내비게이션에도 유일한 그 이름, 구층암(九層庵)부터 물었다. 스님은 숫자 ‘9’에 담긴 의미를 들려줬다. 

“(인도에서)9는 완성의 의미가 있어요. 『화엄경』의 극락정토인 구품연대도 그렇고, 연화장(蓮華藏, 큰 연꽃 속의 불국토)이에요. 천불보전에 토불 1,000기가 있고, 천불보전 서까래 곳곳에도 연꽃을 만들어놨어요”

완성은 또 다른 시작이랬다. 비유에 찻잔이 쓰였다. 흙이 모양을 갖추고 불로 단단해져서 찻잔으로 완성됐고, 찻잔으로 새로운 삶을 산다고 했다. 쓰임이 다하면 다시 흙으로 돌아가지만, 어떤 형태에서 완성과 시작 그리고 끝을 이어간다는 뜻이었다. 

구층암 모과나무도 그랬다. 모과나무로 한 생을 완성하고, 기둥으로 새 삶을 시작한 셈이다. 모과나무 기둥도 완성하지 않은 늙음이었다. 

 

업보와 공덕 그리고 시간의 뒤틀림

뒤틀린 놈은 뒤틀린 대로, 곧은 놈은 곧은 대로 기둥과 대들보로 쓴 사례는 더러 듣고 봤다. 구층암 모과나무 기둥은 달랐다. 가지만 쳐낸 나무 생김새 그대로, 자연목 모양대로 모과나무를 기둥으로 썼다. 조선 후기 살림집과 사찰 등에서 많이 썼던 ‘도랑주’라고 한단다. 모과나무 기둥은 마루와 지붕을 연결하는 결구(結構, 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 부재를 조립하는 이음과 맞춤) 부분만 칼이 닿았다. 

다향사류 기둥 2개와 건너편 요사채 기둥 1개가 모과나무 기둥이었다. 굵기만 봐도 족히 100년은 넘어 보였다. 1936년 태풍 때 쓰러진 모과나무를 사용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스님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에 새로 지었을 테니, 300년은 넘게 봤다. 오랫동안 모과나무 기둥을 바라본 스님의 생각을 물었다. 

“있는 그대로 그 자체로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편안함이에요. 전혀 불편하지 않죠. 지혜 있으신 분이 모과나무를 기둥으로 쓰지 않았을까요?”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