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휴머니즘과 불교의 결합은 성공적인가?
상태바
트랜스휴머니즘과 불교의 결합은 성공적인가?
  • 이상헌
  • 승인 2022.01.17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랜스휴머니즘과 불국정토

트랜스휴머니즘에서 활용하는 기술적 수단들을 방편으로 불교적 이념을 실현할 수 있다고 믿는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시도는 성공할 수 있을까?

불교의 핵심적 가르침은 우리 삶에 깊숙이 뿌리 박혀 있는 ‘고(苦, duhkha)’에 관한 통찰이며, 누구나 각자의 노력으로 이 보편적 고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인간의 운명처럼 생각되는 고로부터의 해방과 더 나은 세상, 더 행복한 삶으로 인류를 인도한다는 자신들의 목표가 불교와 다르지 않다고 믿는다. 더욱이 인간을 비롯해 삼라만상의 무상함을 주장하는 불교의 가르침이 인간의 현재 상태를 완성된 것, 고정된 것으로 여기지 않고 변화하고 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자신들의 주장과 일치한다고 주장한다. 

이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세 가지 목표에 있어서 자신들과 불교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고 말한다. 첫째는 인간 세상을 더 나은 세상으로 만들고 개인의 삶을 더 나은 삶으로 고양한다는 목표다. 둘째는 인간이 직면하는 온갖 고통의 원인을 제거해 고통 없는 행복한 삶을 얻으려는 목표다. 셋째는 인간 현재의 상태를 더 높은 상태, 이를테면 열반의 경지로 고양하는 목표다.

불교는 깨달음의 과정에서 방편을 활용하는 데 인색하지 않으며, 깨달음의 방편으로 과학기술에 의존하는 것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지 않다. 오히려 불교는 세상 어떤 종교보다도 과학기술에 친화적이다. 그래서 목표의 공통성에 기초해 트랜스휴머니즘을 불교와 결합하는 시도가 가능하다고 일부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믿는다.

 

고로부터 해방되는 하나의 길: 몸의 한계 극복

불교적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인간 모든 고의 뿌리를 인간의 자연적 본성, 특히 생물학적 한계에서 찾는다. 질병과 노화, 신체에 기초한 욕구와 자연 본성에 뿌리 박은 심리 등이 인간에게 고통을 가져다준다는 생각이다. 이들은 이러한 고의 원천을 인간의 자연적 한계라고 규정하며 우리가 행복에 도달하지 못하게 막는 장애물이라고 여긴다.

지금까지 인류는 한계에 맞서고 장애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리고 드디어 인류는 자연적 한계와 장애로부터의 해방을 꿈꿀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바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 덕분이다. 생명공학, 더 나아가서 나노기술의 발전으로 의료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면 인간은 모든 질병을 극복하는 날을 맞이할지 모른다. 더욱이 우리의 자연적 몸과 기계의 결합, 다시 말해 사이보그화를 통해 인간은 신체적인 고통과 감각적 욕망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을지 모른다. 이제 남은 문제는 질병과 노화, 온갖 부정적 자연 본성과 심리를 우리의 운명적 한계로 여기는 잘못된 믿음을 떨쳐버리는 것이다. 트랜스휴머니즘은 바로 이런 믿음을 참이라고 여긴 전통적인 사고로부터 탈피하려는 움직임이다.

전통적으로 서양 사상은 마음과 몸의 이원론을 가정했으며, 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로 일관했다. 현대에 들어와 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상학적 관점이나 포스트모던적 몸 이해 방식이 등장했지만, 여전히 몸은 마음 혹은 정신에 비해 낮은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플라톤은 몸으로부터의 해방이 진리와 행복에 도달하는 길이라고 생각했으며, 칸트 역시 몸의 자연적 충돌에 굴복하지 않는 의지의 힘을 강조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트랜스휴머니즘은 서양 사상의 주류 전통과 맥이 닿아 있다. 사이보그화는 인류의 숙원이었던 몸으로부터의 해방을 실현한 것을 의미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