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 가는 종이 재현하는 영담 스님
상태바
천년 가는 종이 재현하는 영담 스님
  • 김남수
  • 승인 2022.01.07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광초대석 | 영담한지박물관 운영하는 영담 스님

영담한지미술관은 아담하지만 이름있는 미술관이다. 스님은 출가 이전부터 한지와 인연을 맺었다. 하지만 수행자로서 종이를 만들게 된 이유는 따로 있었다. 전통 종이의 맥을 스님들이 지켜왔다는 자부심이었다.

“아버님이 한의사셨어요. 한약방에 첩약을 싸는 종이를 순지라고 하는데, 전통한지를 사용했습니다. 한지는 닥섬유가 얼기설기 얽혀 있어 그 사이에 미세한 공기구멍이 있어요. 약탕기에 한약을 끓일 때, 한지를 약탕기 뚜껑 삼아 입구를 막아서 끓이면 습도 조절이 잘돼 약이 잘 다려지곤 했지요. 초등학생 시절 어느 떠돌이 할아버지가 우리 집에서 지내게 됐는데, 그분이 양평 무내미에서 종이를 뜨던 통꾼이었어요. 아버님은 그 할아버지에게 종이 뜨는 시설을 간단히 갖춰 주고 종이를 만들게 하셨어요. 그 덕분에 종이 뜨는 것을 보고 자랐습니다.”

한지에 대한 애정을 물었더니 어린 시절의 인연을 꺼낸다. 옛적에는 스님들이 종이를 만들어 왕실과 관에 납품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본격적으로 일을 벌이기 시작했다. 옛 스님들의 맥을 잇고 싶었다고.

“옛날에는‘한지’라는 단어가 없었어요. 그냥 종이 하면 ‘한지’를 말했죠. 용도와 재질, 지역에 따라 문창호지, 벽지, 책지, 다리니지, 혼서지, 태지, 구름종이, 야들종이 등 이름이 다양했습니다.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 ‘종이’의 의미가 변하고, 옛날 종이에 굳이 한지라는 이름을 붙이게 됐지요. 한지를 제작할 때, 일본식으로 만들기도 했어요.”

부처님 말씀을 기록한 경전은 기본적으로 종이로 남아있다.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종이는 불교 경전으로, 1,300여 년 전 신라 경덕왕 시절 사경된 『대방광불화엄경』이다. 스님은 부처님 말씀을 담은 한지를 재현하고 싶어 했다. 그래서 1984년, 원주에서 종이 만들기를 시작했다. 무위당 장일순 선생과 박경리 소설가가 있던 곳이었다. 

 

천년 가는 종이

닥나무를 삶아 종이가 나오기까지 지장(紙匠, 전통 한지의 제조기능을 가진 장인) 한 명을 포함해 다섯 명이 한 팀을 이루는데, 스님은 두 명의 지장과 일을 했다. 스님까지 합하면 11명. 주변의 도움도 있었지만, 겁 없이 덤비던 시절이다. 닥종이는 닥나무를 삶아 종이가 나오기까지 사람 손을 99번 거친다. 마지막으로 종이를 사용하는 사람이 한 번 더 만져 총 100번을 거친다 해서 ‘백지(百紙)’라고 한다.

당시 지장의 급여는 종이의 장 단위로 책정했는데, 그러다 보니 지장들이 종이의 질보다는 양을 우선하게 되더란다. 스님은 지장들이 하루에 만들던 최대량을 기준으로 책정한 월급을 주면서 ‘종이 질’을 우선시했다. 그러면서 스님이 만든 종이는 조금씩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