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를 품은 지리산] 선불교의 요람
상태바
[불교를 품은 지리산] 선불교의 요람
  • 효신 스님
  • 승인 2021.12.28 1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쪽에서 불어온 조사선풍祖師禪風
실상사 홍척 스님 부도. 
설악산 진전사에는 도의가, 남쪽 지리산에는 홍척이 법을 전했다.

종착지, 그곳은 우리 여정의 짐을 내려놓고 쉴 수 있는 공간을 기대하게 한다. 그래서인지, 백두산이 흘러내린 산이라 해서 두류산으로 불렸던 백두대간의 종착지 지리산은 넉넉하고 부드러운 품으로 다가온다. 하지만 실상은 다기다양한 웅대한 산악 지형으로, 마치 중생의 번뇌처럼, 길을 잃어버리면 헤어나올 수 없는 고난도 미로의 공간을 지녔다. 

미로의 꼬여 있는 길은 번뇌와 보리의 한끗 차이를 몸소 보여주는 듯하고, 여기에 명료한 해답을 주려는 듯 천 개가 넘는 크고 작은 절들이 있다. 선(禪)의 종지만큼 단순하고 명료한 가르침이 있겠는가? 선의 가람이 최초로 창건된 곳이 바로 여기 지리산이다.

지리산의 방위는 천왕봉을 축으로 한 북서남동, 또는 산의 주능선을 기준으로 한 남북으로 잡을 수 있다. 주능선이 기준이 된 남북은 각각 겉과 속으로, 남쪽 겉지리에는 큰 절이 많고 북쪽 속지리에는 작은 암자와 민간신앙 당[巫堂]들이 산재한다. 이는 고대국가의 형성 시기부터 산신신앙의 대상으로 부각된 지리산의 특성을 말해준다. 

이제 천왕봉의 북서남동쪽 길을 따라, 지리산이 품고 있는 선지(禪旨)를 구하는 여정을 떠나보자.

 

실상산문

천왕봉에서 북서쪽으로 향하면 우리나라 맨 처음 선문을 개창한 가람인 실상사에 도착한다. 너른 평지에 자리한 이곳에 구산선문의 초두 실상산문을 연 이는 홍척 선사다. 홍척은 당나라에 유학해 마조 문하였던 서당지장 밑에서 16년의 공부를 마치고 귀국한다. 2년 후 흥덕왕 3년(828), 지리산으로 와 산문을 열었다. 원래는 지실사(知實寺)였으나, 홍척의 시호인 ‘실상선정국사(實相禪庭國師)’의 앞말을 따 고려 초부터 실상사로 불리기 시작했다. 

실상산문은 여타의 구산선문이 지방호족들의 도움을 받았던 것과는 달리 왕실의 비호 아래 선풍을 일으켜 급격히 성장했다. 

이는 홍척 선사가 흥덕왕과 선강 태자를 제자로 맞아 왕실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았기 때문이다. 민애왕,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 등이 실상사에 머문 기록을 통해서도 왕실과의 돈독한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교학이 주류였던 당시 분위기로 보면 민중보다는 새로운 사상에 개방적인 왕실에서 더 용이하게 접근했을 것이다.

홍척 선사보다 서당지장의 법을 먼저 받고 온 이는 가지산문의 시조인 도의 선사이다. 5년 먼저 귀국한 도의는 설악산에 은둔했기에 비록 선찰(禪刹)을 홍척보다 늦게 세웠지만, 개인적 선의 가르침은 먼저 전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두 사람을 가리켜 북산의 남악척(北山義南岳陟)이라 하는데, 북쪽 설악산 진전사에는 도의가, 남쪽 지리산 실상사에는 홍척이 법을 전했다는 뜻이다. 

홍척의 선문은 몰념몰수(沒念沒修)고, 도의는 무념무수(無念無修)인데 결국 한 스승의 문하였음을 보여주는 선지다. 그러나 두 사람은 서로 대비된 성향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은둔의 수행을 택한 도의와는 달리 국사로 활동한 홍척은 매우 활발한 기질이었을 것이다. 홍척은 흥덕왕의 초청으로 830년 무렵 경주로 갔다가 836년 설악산으로 거처를 옮겼고, 그의 문하에는 수철을 비롯한 1,000여 명의 제자들이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