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침사와 분암, ‘억불숭유’ 명분 내세운 조선 초 지배층의 현실

왕릉 수호 사찰 ‘능침사’의 시초
권력자일수록 죽은 후 큰 무덤을 만든다. 권력자들 역시 사후세계를 믿었고, 무덤의 크기는 곧 권력을 상징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은 불교와 같은 고등종교의 수용으로 세련되게 다듬어지면서 체계화되기에 이른다.
중국에서 불교는 유교와 도교에 비해 늦은 외래 종교이지만, 남북조(南北朝)시대를 지나 수(隋)·당(唐)대를 거치면서 유교, 도교와의 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게 된다. 유교는 사상적 체계가 국가 운영에 적합해 선화(善化)됐지만, 생활 속에서는 불교보다 괴리감이 컸다. 유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효에 대해 불교는 정돈된 내세관을 내세워 선망(先亡) 부모의 명복을 비는 방식으로 손쉽게 자리 잡았다.
능침사(陵寢寺)는 왕릉을 수호하기 위해 설치된 사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5세기 초엽에 세워진 고구려 개조 동명왕릉(東明王陵) 앞에 있는 정릉사(定陵寺)가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능침사다.
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