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개국과 불교] 죽은 자를 위한 공간
상태바
[조선 개국과 불교] 죽은 자를 위한 공간
  • 홍병화
  • 승인 2021.10.27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능침사와 분암, ‘억불숭유’ 명분 내세운 조선 초 지배층의 현실
평양 진파리 고분군의 전(傳)동명왕릉과 정릉사지,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왕릉 수호 사찰 ‘능침사’의 시초 

권력자일수록 죽은 후 큰 무덤을 만든다. 권력자들 역시 사후세계를 믿었고, 무덤의 크기는 곧 권력을 상징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은 불교와 같은 고등종교의 수용으로 세련되게 다듬어지면서 체계화되기에 이른다.

중국에서 불교는 유교와 도교에 비해 늦은 외래 종교이지만, 남북조(南北朝)시대를 지나 수(隋)·당(唐)대를 거치면서 유교, 도교와의 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게 된다. 유교는 사상적 체계가 국가 운영에 적합해 선화(善化)됐지만, 생활 속에서는 불교보다 괴리감이 컸다. 유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효에 대해 불교는 정돈된 내세관을 내세워 선망(先亡) 부모의 명복을 비는 방식으로 손쉽게 자리 잡았다.

능침사(陵寢寺)는 왕릉을 수호하기 위해 설치된 사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5세기 초엽에 세워진 고구려 개조 동명왕릉(東明王陵) 앞에 있는 정릉사(定陵寺)가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능침사다. 

최근 동북아 최초 능침사에 대한 역사학자들의 논의에 따르면, 발견된 유구로만 보자면 고구려가 중국보다 더 이르다. 물론 다양한 이견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여러 학설 중 하나로 받아들이는 게 현명한 태도다. 하지만 현재까지 동북아시아의 최초 능침사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고구려 절터는 관심이 집중되는 유적인 것은 분명하다. 

우리나라가 불교를 아무리 능동적으로 수용했다고 하더라도 지정학적인 한계로 불교의 전래가 중국보다 빠를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고구려의 능침사 사례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불교라는 종교의 학문적 성격과 이를 누릴 수 있는 계층이 종교의 유입 초기일수록 지배층이라는 사실을 보면, 불교는 주로 집권층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불교는 교리적 속성상 점차 널리, 점차 밑으로 스며들었다고 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삼국 중 불교의 수용이 가장 늦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했다. 따라서 능침사에 관한 객관적 증거도 삼국 중 가장 늦은 시기의 유적들에서 확인된다. 기록에 의한 근거보다는 유구나 유물의 비교를 통해 시기를 추정하자면, 백제 능사와 비슷하거나 혹은 조금 늦은 시기라고 할 수도 있다. 경주 서악동 고분들과 주변 애공사지 등이 그 실례이다. 물론 기록을 통해 능침사로 확인된 사찰들은 이보다 늦은 문무왕(재위 661~681)의 감은사와 신문왕(재위 681~692)의 황복사, 원성왕(재위 785~798)의 숭복사 등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