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개국과 불교] 이성계 미륵을 발원하다
상태바
[조선 개국과 불교] 이성계 미륵을 발원하다
  • 주경미
  • 승인 2021.10.27 16: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 건국 의지 담은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사진 1.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품, 1390~1391년, 강원도 금강산 월출봉 출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땅속에서 발견된 이성계의 불교 사상

조선 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발전시켰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고려시대까지 국교였던 불교가 조선 건국과 동시에 쇠퇴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조선 건국을 지지했던 불교계 활동이 있었기에 새로운 왕조의 창건이 가능했다고 보는 편이 적절하다. 조선 건국 초기의 불교문화가 잘 알려지지 않았던 것은 『조선왕조실록』 등 유학자들이 찬술한 역사 기록에 고려 불교계가 조선 건국 과정에 참여한 내용이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조선 건국 초기 불교문화와 태조 이성계의 불교 사상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료는 역사 기록이 아니라 우연히 땅속에서 발견된 불교 문화재들이다. 일제강점기인 1932년 금강산 월출봉에서 태조 이성계가 발원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일괄품이 발견되면서(사진 1),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이성계의 불교 사상이 새롭게 조명되기 시작했다.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는 금강산 월출봉에서 방화선 공사를 하던 도중 땅속 석함(石函) 안에서 발견됐다고 한다. 석함을 제외한 사리장엄구 일괄품은 곧바로 당시 서울에 있던 조선총독부박물관으로 옮겨졌고, 1933년 7월 박물관 소장품으로 정식 등록됐다. 현재 보물 제1925호로 지정된 이 사리장엄구 일괄품은 모두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현존 유물은 총 9점으로, 은제도금 사리기 2점, 은제 귀이개 1점, 동제 사리기 1점, 백자 5점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5점의 유물에 새겨진 명문(銘文)들에는 발원자와 제작연대 등이 기록돼 있는데, 주요 발원자는 태조 이성계와 그의 부인 강씨다. 현존하는 역사 기록에는 이성계 부부가 사리장엄구를 발원했다는 내용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 만약 이 사리장엄구 일괄품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이성계 부부의 불교 사상은 역사에서 완전히 잊혔을 것이다. 명문에 의하면 이 사리장엄구 일괄품은 1390~1391년 사이에 제작됐다. 이는 이성계가 조선 건국 직전 위화도 회군으로 실권을 잡고 있던 시기다.

 

역사 속에서 감춰진 사리장엄구 발원과 역성혁명

태조 이성계는 1335년 함경남도 영흥에서 출생한 동북 지방 호족이다. 14세기 중반경부터 부친과 함께 공민왕의 반원운동에 참여하며 뛰어난 무장(武將)으로서 고려 조정에서 활약했다. 14세기 후반은 원나라가 쇠퇴하고 명나라가 흥성하기 시작한 변혁기로, 고려에서도 이성계를 비롯해 정몽주, 정도전, 조준 등 개혁을 주장하는 신진사대부들이 등장한 시기다. 이성계는 1388년 위화도 회군과 함께 우왕을 몰아내고 창왕을 즉위시키면서 권력을 잡았다. 그다음 해인 1389년 1월에는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즉위시켰으며 당시 최고 권력자인 수문하시중이 됐다. 

이성계와 그를 따르는 사람들은 경제적·정치적·군사적 측면에서 총체적인 개혁을 시도하며 새로운 왕조의 창건을 꿈꾸기 시작했다. 이성계가 금강산에 사리장엄구를 발원해 봉안한 것이 바로 이 시기다. 1392년 7월 17일 이성계는 결국 공양왕으로부터 왕위를 양위 받는 형식으로 즉위했으며, 국호를 조선으로 바꿔 역성혁명을 완수했다. 이러한 즉위 과정으로 볼 때 1390~1391년 발원된 금강산 사리장엄구는 기록에 남지 않은 역성혁명의 일부 과정이며, 이성계가 미륵하생신앙을 중심으로 한 불교적 정치사상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물질문화적 증거물이다.

즉위 이전부터 조계종 승려들과 교유하며 각종 불사(佛事)에 참여했던 이성계는 불교 신자였을 가능성이 크다. 즉위 후에도 그와 꾸준히 교유했던 가장 중요한 인물은 조계종 승려였던 무학 대사다. 14세기 말 불교 금석문(金石文, 금속이나 돌로 만든 각종 유물에 있는 명문)에 기록된 이성계의 이름은 그의 불교적 공양 행위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다. 1383년 이색과 나옹의 문도들이 발원해서 건립한 경기도 여주 신륵사의 ‘신륵사 대장각기비’에 이성계는 발원자 중 하나로 기록돼 있다. 1384년 건립한 평안북도 영변군 묘향산 안심사의 ‘안심사 지공나옹비’ 역시 이성계를 발원자 중 하나로 기록하고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