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초대석] 스님, 공리주의가 뭐예요?
상태바
[불광초대석] 스님, 공리주의가 뭐예요?
  • 김남수
  • 승인 2021.10.2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을 공동체 꿈꾸는 담준 스님

광주 선덕사 주지로 있는 담준 스님은 출가하기 전 대학교 행정 직원이었다. ‘선시禪詩’를 주제로 박사 학위도 준비하였단다. 조금 한가한 방학 때면 대흥사 템플스테이에 자주 참여해 지금의 은사인 법인 스님과 지중한 인연을 맺었다. 

박사 학위에 매달리는 자신이 갇힌 세계에 있다는 느낌이 들자, ‘이번 생은 출가 수행자로 살아보자’라는 각오로 30대 후반에 산문에 들어섰다. 농담이겠지만 출가하면 공부하지 않는 줄 알았다고. 웬걸, 출가해서 속세에 있을 때보다 더 공부를 많이 하게 되더라고. 

출가 전에도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있었지만, 출가 후 윤리에 대한 고민을 조금 더 하게 됐다. 대승불교권인 우리 승가사회에 발전된 윤리적 담론이 필요함을 느꼈다고. 담준 스님은 별다른 시각으로 불교를 바라본다. 바로 ‘공리주의’ 시각에서다.

공리주의? 고등학교 윤리 시간에 배운 상식으로 선한 의도보다는 결과를 중요시하는 그런 이론. 불교가 공리주의라고? 일단은 조금 어려운 부분일 듯하다.

“공리주의는 말 그대로 의도도 있고 과정도 있지만, 말 그대로 좋은 결과를 산출해내는 것을 선한 것, 옳은 것으로 보는 입장입니다. 그런데 주의할 것은 이익이라는 것을 너무 협소하게 받아들이는 우리의 태도입니다. 물질적인 이익이 아니라 불교에서 말하는 이익은 스펙트럼이 넓습니다. 중생들이 고통이 없고 행복한 상태를 이익이라고 보는 것이죠. 그것은 물질적인 상태를 넘어선 정신적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의도? 좋다. 과정? 역시 중요하다. 하지만 ‘행위를 할 때 좋은 결과를 산출하고, 가급적이면 많은 사람들의 이익을 산출하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 공리주의는 이것을 말한다.

자비 결과주의

스님은 불교에서 말하는 자비(慈悲)를 공리주의 입장에서 이해한다. 최근 스님은 이런 입장에서 허남결 교수 등과 함께 『자비 결과주의』라는 책을 번역했다. 

자비 결과주의는 ‘자비의 성품이 제대로 발현되었을 때 최대의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자비의 성품은 개인의 손해가 있더라도 최대의 결과를 지향하는 것’을 말한다. 스님은 자비 결과주의를 실현하는 존재를 ‘보살’이라 한다. 지장보살처럼 본인이 희생하더라도 최대 결과인 중생구제를 실현하는 존재이다.

스님은 결과, 혹은 공리라는 표현이 ‘세속적인 표현, 혹은 이익을 협소하게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날 때 의미가 다가올 수 있다고 거듭 말한다. 즉, ‘의도 좋다. 과정도 좋다. 하지만 중생의 행복을 결과라고 보았을 때 그것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자비 결과주의로 본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