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한] 십육 혹은 오백 숫자와 나한
상태바
[나한] 십육 혹은 오백 숫자와 나한
  • 오인 스님
  • 승인 2021.08.30 1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대 제자와 6 재가보살 아라한 500명
숫자 연결고리는 법法
영천 거조사 영산전에는 500나한보다 더 많은 나한이 봉안돼 있다. 

2016년 정토학회에서 나한신앙에 관한 발표 의뢰를 받고, 모처럼 청도 운문사 사리암을 찾았다. 그때까지만 해도 사리암이 한국의 유일한 나한기도 도량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사리암에 올라가서 사진도 찍고 내려와 운문사 도량을 둘러보았다. 그런데 운문사 경내에는 오백전과 응진전(16나한전)이 있고, 또한 칠성각에는 독성단이 있었다. 그때까지 한 번도 생각하지 않았던 의문이 일었다. 운문사에는 왜 이렇게 다양한 나한각이 존재하고 있는 것인가? 나한신앙은 관음이나 지장신앙 등과 달리, 신앙 대상이 독존이 아닌가? 

그렇다면 다른 도량은 어떠한지 궁금했다. 500 나한상으로 유명한 은해사 거조사(암)로 향했다. 이전에도 몇 번이나 참배했던 도량이었음에도 그날 처음으로 영산전에 봉안된 나한상이 526구임을 알았다. 500나한과 16나한, 그리고 석존의 10대 제자였다. 궁금증은 더욱 증폭되어 갔다. 숲속에 앉아서 500 나한전이 있는 사찰을 검색하니, 기림사 응진전이 있었다. 이곳에도 500나한과 16나한이 함께 봉안되어 있음을, 선행(?) 답사로 금방 알 수 있었다. 불단 앞쪽에 있는 16상의 크기가 뒤편에 있는 500상보다 훨씬 컸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의 사찰들은 500나한과 16나한을 함께 봉안하고 있는 현황이나 그 연유에 대해 안내문 등에 소개하고 있지 않았다. 의문은 쉽사리 풀리지 않았으며, 나한신앙에 관한 선행연구들 또한 대부분 16나한상이나 500나한도 등을 중심으로 한 도상학적인 연구 중심이었다. 16나한신앙의 소의경전인 645년에 현장이 한역한 『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이하, 『법주기』)에도 16나한의 존명과 권속, 주처, 역할 등에 관한 내용은 충분했지만, 500나한과의 연관성은 설명하지 않았다. 

이 둘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은 불교경전에서 시작해야만 했다. ‘16’, ‘상수(上首, 우두머리)보살’(이하 상수), ‘빈두로’, ‘오백나한’ 등의 용어에 대한 경문을 2~3개월 동안 검색하고 정리했다. 첫 번째는 숫자 ‘16’과 ‘상수’에 대한 내용이다. 경전에 나타난 ‘16’과 관련한 인물들은 16재가보살, 16현사(賢士), 16정사(正士) 등이다. 16재가보살은 『대지도론』에서 ‘발타바라’를 상수로, 16현사도 구마라집(344~413)역의 『사익범천소문경』 등에서 역시 ‘발타바라’를 상수라고 했다. 다만 16정사의 경우는 축법호(231~308) 역의 『불설해룡왕경』에서는 ‘해박’을, 472년 길가야 역의 『불설대방광보살십지경』 등에서는 ‘발타바라’를 상수라고 했다. 간단히 정리하면 첫째, 16재가보살 등 용어는 7세기에 한역한 『법주기』 이전에만 사용됐으며 둘째, 그들의 상수는 발타바라, 또는 해박이다. 

이를 근거로 16재가보살 등은 16나한신앙의 성립에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진다. 그렇다면 16나한의 상수는 발타바라, 또는 해박이어야 한다. 하지만 『법주기』 속 16나한의 상수는 빈도라발라타사, 즉 빈두로이며 빈두로는 16재가보살 등에서는 존명이 전혀 거론되고 있지 않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