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 선을 논하고 차를 나누며 우정을 쌓다
상태바
[추사 김정희] 선을 논하고 차를 나누며 우정을 쌓다
  • 박동춘
  • 승인 2021.07.27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외의 벗들
성철 스님과 법정 스님,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등의 초상화를 그린 수묵화가 김호석 화백의 <초의 초상화>.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1786~1856)는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문인으로, 경향(京鄕, 서울과 시골)의 스님들과 교유했다. 특히 그는 『법원주림』, 『원각경』, 『법구경』, 『전등록』, 『금강경』, 『종경록』 등 불서를 탐독하여 불교 이론에도 밝았다. 그는 조선 후기 가장 활발했던 선리(禪理) 논쟁이었던 백파긍선(白坡亘璇, 1767~1852)과 초의의순(草衣意恂, 1786~1866)의 논쟁에도 참여하여 초의 주장을 옹호하는 견해를 보인다. 이런 그의 견해는 선리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에서 나온 것이다.

추사는 추사체라는 독특한 서체를 완성한 서예가로, 불후의 명작 <세한도>를 남겼고, 차 애호가이자 이론가로서 차에 대한 밝은 식견을 드러냈다. 추사를 평생 연구한 최완수 선생은 “일격화풍(逸格畵風)을 정착시킨 대화가이자 고증학의 문호를 개설한 대학자”라고 평가했다. 추사의 학풍과 예술 세계를 일목요연하게 꿰뚫어 본 것이라 하겠다.

 

그 겨울, 해붕과 초의를 만나다

추사는 수행 정진하는 스님과 다양하게 교유했던 대유(大儒, 학식 높은 선비)로, 초의와 나눈 우정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유불 교유로 손꼽힌다. 추사와 초의는 1815년 겨울 학림암에서 처음 만난다. 이후 추사는 초의의 막후 후원자로 학문적인 지향과 이상을 공유했다. 초의 또한 추사가 정치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시절 마음을 다해 추사의 안위를 걱정하고, 차와 약재, 음식을 보내는 등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아끼지 않았다. 초의의 「제해붕대사영정첩(題海鵬大師影幀帖)」 발문에서 초의는 추사를 만난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지난 을해년(1815)에 노화상을 모시고 수락산 학림암에서 겨울을 보내고 있었다. 하루는 완당이 눈길을 헤치고 찾아와 노스님과 공각의 능소생에 관해 토론하며 하룻밤을 (학림암에서) 묵고 돌아갈 적에 노스님께서 두루마리에 게를 써주었다(昔在乙亥 陪老和尙 結臘於水落山鶴林庵 一日阮堂披雪委訪 與老師大論空覺之能所生 經宿臨歸 書偈於老師行軸).”

윗글에 따르면, 이들의 첫 해후는 수락산 학림암이었다. 당시 추사는 해붕 대사를 찾아와 공각(空覺)의 능소생(能所生)을 토론했다. 이 무렵 초의는 처음 상경하여 학림암에서 해붕 대사를 모시고 수행하면서 추사를 만났다. 해붕의 수행력에 깊이 감동했던 추사는 1816년경 초의에게 보낸 편지에서 “해붕 스님의 한결같이 맑고 아름다운 마음은 질박한 마음에서 생긴 정이니 끓어 버릴 수가 없습니다”라고 한 것에서도 드러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