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통 부림을 금한 붓다
신통력(神通力)은 일반적인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은 특별한 능력이다. 어느 종교이건 교주의 신통력을 강조하지 않은 경우는 없을 것이다. 불교는 신통력에 의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신통력에 관한 이야기가 의외로 많다. 다만 신통을 다른 종교처럼 강조하지는 않는 편이다. 불교가 신통을 강조하지 않는 것은 붓다가 제자들의 신통을 금지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불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가 신의 은총이나 구원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마음을 편안케 하는 데 있기 때문일 것이다.
붓다가 제자들의 신통력 발휘를 금했던 이야기를 먼저 살펴보자.
라자가하의 한 부자가 갠지스강에 물놀이 갔다가 우연히 아주 귀한 붉은 전단향 나무를 얻게 되었다. 그는 그 전단향 나무로 발우를 만들었다. 참으로 고급스러운 발우를 보며 부자는 이 발우를 통해 진정으로 신통자재한 이가 누구인지 알아보아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는 키가 엄청나게 큰 대나무 꼭대기에 발우를 매달아놓고 널리 알렸다.
월간불광 과월호는 로그인 후 전체(2021년 이후 특집기사 제외)열람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