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예념미타도량참법' 보물 된다
상태바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예념미타도량참법' 보물 된다
  • 송희원
  • 승인 2021.07.01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영국사지터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 사진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고려 시대 금속공예 기술의 절정을 보여주는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과 불경 ‘예념미타도량참법 권1~5’를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은 조선 시대 유학자 조광조(趙光祖, 1482~1519)를 기리기 위해 세운 도봉서원의 중심 건물지로 추정되는 제5호 건물지의 기단 아래에서 2012년 수습된 것으로, 지정 예고 대상은 금동금강저 1점, 금동금강령 1점, 청동현향로 1점, 청동향합 1점, 청동숟가락 3점, 청동굽다리 그릇 1점, 청동유개호 1점, 청동동이(靑銅缸) 1점 등 총 10점이다.

영국사터(도봉서원터) 5ȣ 건물지 발굴 모습. 사진 문화재청 제공.
청동동이 발굴 모습. 사진 문화재청 제공.

금강저(金剛杵)는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불교 용구의 하나다. ‘저(杵, 몽둥이)’는 고대 인도에서 사용한 무기 중 하나로, 이 무기를 불교의 법구(法具)로 차용해 사악한 무리를 막는 지물(持物) 또는 수행의 도구로 사용하게 됐다. 금강령(金剛鈴)은 부처를 기쁘게 하고, 보살을 불러 중생들을 깨우치기 위해 사용하는 불교 의식구 중 하나이다. 현향로(懸香爐) 불교의식을 행하는 장소에 사용하는 의례용 용구로서 걸어둘 수 있도록 밑이 둥글고 손잡이가 달린 형태이다.

원래 조선시대 도봉서원 터라고 알려진 이곳은 2017년 추가 발굴조사를 진행하는 도중 고려 초기 고승 혜거국사 홍소(弘炤, 899~974)의 비석 파편이 발견됐다. 비문의 내용 중 ‘도봉산 영국사’라는 명문이 판독됨에 따라 이 지역이 고려 시대 사찰 ‘영국사’의 터였음이 새롭게 밝혀졌다. 이로써 도봉서원이 영국사 터에 건립되었다는 사실과 발굴지에서 수습된 금속공예품은 바로 영국사에서 사용한 고려 불교의식용 공예품이었음을 알 수 있게 됐다.

금동금강저. 사진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에 따르면 지정 예고된 10점의 역사‧예술‧학술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물 중 현향로, 향합, 숟가락, 굽다리접시 등의 명문을 통해 유물의 사용처와 사용 방식, 중량, 제작시기, 시주자 등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릇의 굽다리에 새겨진 ‘계림공시(雞林公施, 계림공이 시주함)’라는 명문은 1077년~1095년 사이에 내려준 ‘계림공’의 작위명을 통해 고려 숙종(肅宗, 1054~1105)이 시주한 사실을 알 수 있어 출토유물의 시대적 편년과 더불어 고려왕실의 후원으로 제작되었음을 알려준다.

청동굽다리 그릇에 새겨진 명문(계림공시). 사진 문화재청 제공.

둘째, 이 유물들은 출토지가 확실하고 영국사에서 사용하였다가 일괄로 매납(埋納)한 유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기물의 용도나 의례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학술적인 의미도 매우 크다.

셋째, 완형의 세트로 발견된 불교의식구인 금동금강저와 금동금강령은 주조기술이 정교하고 세부 조형도 탁월해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시대 금강저와 금강령 중 가장 완성도 높은 공예품으로 꼽힌다. 특히 금강령의 부속품인 물고기 모양의 탁설(鐸舌, 흔들면 소리가 나도록 방울 속에 둔 단단한 물건)은 국내 유일한 사례이자, 금강령 몸체 상단에 새긴 오대명왕과 하단의 범천, 제석천과 사천왕 등 11존상의 배치 또한 그동안 보기 드문 희귀한 사례로서 우리나라 밀교(密敎) 의식법구에 대한 연구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금동금강령과 탁설. 사진 문화재청 제공.
금동금강령 세부 모습. 사진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은 출토지가 분명하고, 고려왕실의 후원으로 제작된 수준 높은 금속공예기법과 더불어 공양의식에 사용했던 다양한 금속기들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한국공예사와 불교사상 의의가 크다고 평가된다”고 말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 권1~5』는 아미타부처에게 지극한 마음으로 예배하고 모든 죄업을 참회하며 보리심(菩提心)을 내어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식집이다. 부산 고불사 소장으로, 1474년(성종 5년) 세조의 비인 정희왕후의 발원으로 간경도감에서 개판한 왕실판본 불경이다. 10권 2책의 완질 중 권1~5의 1책에 해당한다.

예념미타도량참법 권1-5. 사진 문화재청 제공.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예념미타도량참법』의 가장 오랜 판본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고려의 승려 혜랑 등이 간행한 책이 전하며, 이번 지정 예고된 고불사 소장본은 1474년경에 찍은 판본으로 추정된다. 이 판본은 간행 이후 전국의 여러 사찰에서 간행되는 예념미타도량참법의 모태가 되는 자료로서 조선 전기 불교사상과 인쇄문화사를 살필 수 있는 중요자료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고불사 소장 『예념미타도량참법 권1~5』는 인수대비와 인혜대비를 비롯해 공주, 숙의, 상궁 등 여인들과 월산대군·제안대군 등 왕실 인사들, 신미·학열·학조 등 당대 중요 고승들이 참여한 정황이 명확하고, 판각과 인쇄에 참여한 장인들의 이름이 모두 나열되어 있어 조선 초기 왕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국가적인 불경 간행사업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또한 책 앞머리에 수록된 과거‧현재‧미래 삼세불 도상은 화원 백종린과 이장손이 그린 것으로, 연대와 작가가 확실한 조선 초기 판화라는 점에서 당시 불교사, 인쇄사, 회화사 연구에도 의의가 크다.

한편 이번에 지정 예고한 문화재는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될 예정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