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불교] “사탑심다(寺塔甚多) 백제, 한국불교 뿌리이자 세계유산”
상태바
[백제 불교] “사탑심다(寺塔甚多) 백제, 한국불교 뿌리이자 세계유산”
  • 송희원
  • 승인 2021.06.29 1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드높고 은미한 이름 백제 불교 | 나의 백제 불교 연대기 | 백제세계유산센터 이동주 센터장
공산성, 이동주 백제세계유산센터 센터장.

2015년 7월 독일에서 열린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전 인류가 함께 보호하고 후세대에 물려줘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세계유산이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백제역사유적지구는 충남 공주·부여, 전북 익산 지역에 걸쳐있는 고고학 유적들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 백제 웅진도읍기(공주) 유적인 공산성, 송산리고분군부터 사비도읍기(부여) 유적인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정림사지, 능산리고분군, 나성 그리고 사비도읍기 후기(익산)인 무왕과 관련된 왕궁리유적, 미륵사지까지 총 8곳의 백제 왕도 관련 유적지로 이뤄졌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왕성·사찰·능묘는 모두 중국에서 백제로 불교가 전래된 이후인 후기 백제시대(475~660년)를 대표하는 유적들이다. 이는 백제인들이 중국에서 전래된 불교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를 어떻게 자신들만의 탁월한 문화로 승화했는지를 증명한다. 

사비도성 한가운데 대규모로 건립한 정림사는 물론이거니와 왕성을 축조하는 기술 역시 중국에서 들여온 사찰과 목탑의 건축 기술이 녹아들어 있다. 또 백제에서 불교는 정치·사상과 밀접하게 결합했다. 능산리고분군과 연접해 조성했던 능산리 절터처럼 죽은 왕의 명복을 빌기 위한 능사(陵寺)를 왕릉 가까이 건립했으며, 무왕 재위 기간에는 백성들의 민심을 하나로 모으는 정신적인 사상으로 미륵하생신앙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미륵사를 창건했다. 백제인들에게 왕은 곧 부처이자, 미륵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백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언급한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등재 결정문에서도 잘 나타난다. “신청유산은 고대 중국, 한국, 일본 사이에서 발달한 활발한 교류에 대한 생생한 증거이자 그곳의 불탑과 사찰은 불교의 특징, 진화, 전파를 잘 말해준다.” 

 

사진. 유동영

 

백제의 숨결, 세계에 닿기까지

백제세계유산센터는 약 135만m2의 백제역사유적지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구다.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로 조직된 이 재단의 수장이자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세계유산으로 등재시킨 숨은 주역이 바로 이동주 센터장이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