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 무명을 넘어서는 길
상태바
무지, 무명을 넘어서는 길
  • 이상헌
  • 승인 2021.07.23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랜스휴머니즘과 불국정토
  사진 출처 영화 <채피> 스틸컷.

닐 블롬캠프 감독의 2015년작 SF 액션 영화 <채피>. 범죄를 소탕하기 위해 만들어진 로봇 경찰 ‘스카우트 22호’. 로봇 개발자 디온은 폐기된 스카우트 22호에 고도의 인공지능을 탑재해 로봇 ‘채피’로 재탄생시킨다.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며 성장하는 로봇 ‘채피’는 예상을 뛰어넘는 속도로 성장하며 어느새 인류를 위협하는 대상으로 몰리게 되는데….

 

인생의 괴로움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온갖 괴로움에서 벗어나 행복에 이르는 길은 무엇일까? 인류는 오랜 세월 이 물음의 답을 찾고 있다. 쉽게 생각하면, 하고 싶은 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상일이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 마음에 들지 않으니까 괴로운 것이 아닐까. 왜 행복하지 않을까? 만족할 줄 몰라서일까, 아니면 원하는 것을 만족할 만큼 얻을 능력이 모자라서일까, 그냥 행복이 무엇인지 몰라서일까. 

우리가 온갖 괴로움을 가지고 살고 행복에 쉽게 도달하지 못하는 이유는 인간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 때문일지도 모른다. 우리의 삶은 온갖 미망에 사로잡혀 있으며, 부조리한 욕망의 노예며, 극복할 수 없는 무지 속에 있다. 과학기술에 의존해 인간의 진화가 가능하다고 믿는 트랜스휴머니즘은 인간의 무지와 정서적 고통이라는 인간의 한계를 운명이 아니라 극복 가능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바로 근본적인 기술적 향상이 인간이 한계를 극복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고 믿는다. 

 

초지능과 결합으로 무한한 지능을!

실리콘밸리의 벤처 사업가이자 트랜스 휴머니스트인 레이 커즈와일은 무지를 인간 지성의 결함으로 여기고 기술을 통한 근본적 향상(radical enhancement)을 이루면 무한한 지성을 얻어 무지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근대 이래 인간 이성에 대한 믿음이 문명의 진보를 이루고 학문을 발전시켜왔지만, 근대적 정신은 인간의 유한성과 한계에 대해서도 분명한 인식을 갖고 있다. 

인간 지성은 무한한 것이 아니며 본래적인 한계와 극복하기 힘든 오류라는 운명을 짊어지고 있다. 우리는 그 한계 안에서 최선의 노력으로 진리를 향해 나아가야 하고, 끊임없이 깨어 있으려는 노력으로 오류와 미망에 빠지지 않으려고 애써야 한다. 커즈와일은 이런 근대정신에 저항한다. 그는 인간의 타고난 한계를 인정하지 않으며, 우리가 인간의 한계라고 믿어왔던 것을 생물학적 우연 내지는 시대적 한계일 뿐이며 기술의 발전 과정에서 극복될 수 있는 것이라고 믿는다. 

커즈와일과 그를 추종하는 트랜스 휴머니스트들은 제한적인 인간 지능을 포스트휴먼 초지능과 결합시킴으로써 무한한 지능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초지능(superintelligence)은 기술적 특이점 이후에 등장하는 인공지능이다. 닉 보스트롬은 『슈퍼인텔리전스』에서 초지능을 “다양하고 보편적인 인지 영역에서 현시대의 가장 뛰어난 인간보다 훨씬 더 우수한 지능체”라고 표현했다. 이런 묘사는 초지능을 이해하기에는 좀 부족한 듯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