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을 향한 욕망
상태바
불멸을 향한 욕망
  • 이상헌
  • 승인 2021.06.1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랜스휴머니즘과 불국정토
뤽 베송 감독의 2014년 개봉작 <루시(Lucy)>. 주인공 루시가 특정 약물로 인해 뇌 활용률을 100%까지 가동시키게 되면서 인간의 한계를 벗어나 두뇌와 육체를 완벽하게 컨트롤 하게 되는 이야기를 담았다. 

요즘 들어 새롭게 자주 듣는 말이 있는데 바로 ‘불확실성’이라는 단어다. 오늘날 우리는 다양한 영역에서 유례없는 기술의 발전과 그것의 즉각적인 응용으로 급변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세계화된 시장은 기술의 보급을 가속하고 위력을 기하급수적으로 확장했으며, 이로 인해 기술의 시대로 규정되는 우리 시대는 전쟁과 재난이 없는 상태에서도 불확실성이 점증하는 시대가 됐다. 이런 불확실성의 시대에도 한 가지 확실한 것, 누구에게나 분명한 것이 있다. 그것은 우리 모두 늙고 병들고 죽는다는 사실이다. 노화와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이다. 그래서 톨스토이는 겨우살이는 준비하면서 죽음을 준비하지 않는 인간을 어리석다고 말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불멸에 대한 욕망은 인류가 종교, 철학, 예술을 탄생시킨 이유다. 영국의 대중철학자 스티븐 케이브(Stephen Cave)는 『불멸에 관하여(Immortality)』라는 책에서 문명을 “영생을 향한 욕망의 산물”이라고 말한다. 중국의 진시황을 비롯해 많은 권력자는 죽음을 피하려고 애썼지만 모두 허사였다. 많은 사람은 죽음의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죽음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 종교에 의지했다. 죽음을 극복하고 영생을 욕망하는 이들 역시 불멸이 인간의 영역이 아님을 알고 있었으며, 인간의 운명은 노화와 죽음임을 인정했다. 죽음은 인간의 생물학적 운명이다. 

 

‘생물학적 한계가 운명은 아니다’

죽음이 인간의 운명임을 거부하는 이들이 있다. 바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이다. 트랜스휴머니즘의 선구자인 맥스 모어(Max More)는 트랜스휴머니즘을 ‘과학과 기술에 의해 현재 인간의 형태와 한계를 뛰어넘어 진화의 지속과 가속을 추구하는 생명의 철학’이라고 규정하고, 노화와 죽음이라는 생물학적 한계를 과학과 기술로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에게 노화와 죽음은 더 이상 운명이 아니라 극복의 대상이고 도전 과제다. 대표적으로 오브리 드 그레이(Aubrey de Grey)와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이 이런 입장을 강하게 대변한다. 

드 그레이는 노화와 죽음을 우리가 어쩔 수 없는 생물학적 운명이 아니라 치료 가능한 질병으로 여긴다. 그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손상의 축적으로 노화가 발생, 생물학적 한계에 도달하면 죽음에 이른다고 보고, 그러한 손상을 지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노화를 막고 죽음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손상을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수리할 수 있는 단계로 접근하고 있다. 

드 그레이는 특히 유전공학과 재생의학, 나노기술 등에 기대한다. 

드 그레이는 노화와 죽음을 불가피한 것, 인간의 본성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인간이라는 생물 종의 기술적 결함이며, 기술적인 해결책을 발견해야 하는 도전 과제로 여긴다. 우리가 몸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모두 탐지할 수 있고, 또한 끊임없이 수리할 수 있다면 우리는 노화와 죽음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이른바 므두셀라점(Methuselarity)에 도달했을 때 우리에게 죽음은 더 이상 불가피한 운명이 아니라 선택의 문제가 될 것이다. 므두셀라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가장 오래 산 것으로 알려졌다. 대홍수를 대비해 방주를 만든 노아의 할아버지인 므두셀라는 969살까지 살았다고 한다. 드 그레이는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인류가 므두셀라보다 더 오래, 그것도 젊음을 유지하면서 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장차 인류는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지 않는 이상 죽지 않는 단계에 이를 것이다. 

드 그레이는 우리가 노화와 죽음을 어찌할 수 없는 자연적 현상으로 받아들이는 것, 그래서 인생의 의미를 죽음과 관련짓는 관념을 만들어내는 종교적 혹은 철학적 경향을 언급하며 우리가 친노화(pro-aging) 최면에 걸렸다고 말한다. 이런 최면 상태의 사람들을 깨워서 인간의 수명을 무한히 연장할 수 있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 자신의 과업이라고 말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