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붓다] 젊음은 최초의 펭귄처럼
상태바
[상상붓다] 젊음은 최초의 펭귄처럼
  • 마인드디자인(김해다)
  • 승인 2021.03.3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제주현대미술관 '2020 New Rising Artist: 불완(不完)의 꽃' 전시 리뷰
강주현 | 그려지고 만들어지는 것에 대하여 | 2020
PVC, Wood, Resin, Stainless steel, Digital print | 150×70×206cm

이어령 교수는 저서 『젊음의 탄생』에서 진정한 젊음을 ‘최초의 펭귄(First Penguin)’에 비유한다. 펭귄들은 뒤뚱뒤뚱 떼를 지어 우르르 바다로 모여들지만 정작 바다로 뛰어들기 직전 머뭇거린다. 바닷속에는 먹잇감도 있지만, 천적도 가득하기 때문이다. 그 불확실한 바다를 향해 맨 먼저 뛰어드는 용감한 펭귄이 바로 최초의 펭귄이다. 최초의 펭귄이 뛰어드는 모습을 본 다른 펭귄들은 일제히 그 뒤를 따라 바다로 뛰어든다. 불확실성의 바다로 뛰어드는 최초의 펭귄은 깨어있는 마음으로 세상을 느끼고,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을 새롭게 발견해낸다. 안정만 추구하느라 제한적이고 정체된 존재로 살아가기보다는 이미 정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을 향해 고개를 갸웃거리는 사람이야말로 최초의 펭귄, 진정한 젊은이라는 뜻이다. 제주현대미술관이 제주 출신 젊은 작가를 조명한 전시, <2020 New Rising Artist: 불완(不完)의 꽃>에서 만난 네 작가의 작품에서도 같은 젊음을 느낄 수 있었다. 

 

강주현: 시간과 공간의 축을 흔들다

강주현 작가는 그가 ‘사진공간드로잉’이라 명명하는 형식을 활용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방식을 ‘공간적 차원’에서 ‘시간적 차원’으로 전환한다. 아니, 공간이라는 축과 시간이라는 축의 경계를 허문다고 하는 편에 가깝겠다. 그의 손을 거친 연필, 사다리, 의자 등 일상적 사물은 시간이라는 옷을 입고 공간에 놓이기 때문이다. 곧게 뻗은 연필은 ‘드로잉 하는 중’이라는 시간의 지속 안에서 속도감 있게 휘어진다. 반듯한 사다리는 ‘작업하는 동안’이라는 시간의 궤적을 기록이라도 하는 듯 늘어나고 뒤틀린다. 이 왜곡된 사물들의 형태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두 축의 사이를 벌려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일종의 틈을 만들어낸다. 공간 속에서 마주하는 사물의 한 면이 굴곡진 시간의 흐름을 타고 풍성해지며 ‘본다는 것’, ‘안다는 것’의 오만함을 깨닫게 한다. 이 조각들은 대상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프린트한 뒤, 가늘고 긴 선 형태로 자른 다음 점토로 제작한 원형 위에 하나씩 붙여 가며 만들어졌다. 조각들은 비록 전시장이라는 공간과 전시를 관람하는 순간이라는 시간에 갇혀 자리하고 있지만, 시간과 공간이라는 두 축 사이를 교란하며 인식하는 행위에 대한 관람자의 틀을 흔든다.

 

김강훈: 간절히 거부하기

중국에서 오랫동안 유학 생활을 하며 차 문화를 접할 기회가 많았던 김강훈 작가는 차와 찻잔을 둘러싼 인물들을 통해 ‘관계’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그림 속 인물들은 찻잔을 중심으로 이상한 몸짓을 하고 있는데, 몸을 기울인 채 찻잔의 물을 귓구멍으로 쏟아붓고 있거나 무중력 상태로 둥둥 떠 있는 찻잔에서 쏟아져 내리는 물을 바라보고 있는 식이다. 찻상을 가운데 두고 대화를 나누는 중에 딴청을 피우며 소통을 거부하는 사람들의 모습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잔소리가 듣기 싫은 남학생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 가운데 작가의 자화상만은 조금 다른 모습이다. 초점 없이 흐릿한 다른 인물들의 눈빛과 달리, 공중에서 쏟아지는 찻잔을 아주 분명하게 응시하고 있는 자화상의 눈빛. 양 볼을 타고 흐르는 찻물은 작가의 눈물을 대신한 것일까, 무언가를 간절히 열망하는 듯 보이는 작가의 표정에 언뜻 법을 갈구하는 선재 동자의 얼굴이 스쳐 지나간다. 제주도 개발과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이 작업에 있어 중요한 출발 지점이라 밝히는 작가 노트를 참고해보면, 차와 찻잔을 둘러싼 ‘관계’는 개인 간의 관계를 넘어 사회적 갈등 상황 속에서 충돌하고 교차하는 관계에 대한 탐구로 확장된다.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제주 지역 개발 정책의 파괴적 결과를 거부하려는 반항적 태도로 읽히기도 한다.

 

좌혜선: 습하고 위험한 곳, 죽지 않고 남아 있는 온기 

‘끼니’와 ‘육체’ 등 인간 생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에 관심이 있는 좌혜선 작가의 그림은 습하고 위험한 도시에서 죽지 않고 남아 있는 온기를 그려낸다. 벌거벗은 채 물끄러미 냉장고를 바라보고 있는 

여성의 신체, 현금 지급 박스 앞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는 사람들, 보슬비 내리는 습기 찬 풍경 등 그가 그려낸 장면들은 보통의 삶과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다. 언뜻 일상의 고단함과 쓸쓸함을 재현하는 것으로 보이는 이 그림들에서, 참 이상하게도 희망을 발견한다. 먹고 살기 위해 돈을 버는 일, 매일 끼니를 지어 먹는 일 등 살아있는 한 끊임없이 반복할 수밖에 없는 이 일상적 행위들을 작가는 한없이 따뜻한 시선으로 대하고 있다. 생계를 짊어지고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과 그들이 있는 풍경을 보며, 아무리 ‘불완’해 보일지라도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이미 온전함을, 충분히 아름답다는 사실을 배운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