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 바람·물·땅 기운이 만든 21세기 자연과학
상태바
[명당] 바람·물·땅 기운이 만든 21세기 자연과학
  • 강상구
  • 승인 2021.03.04 16: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학박사가 말하는 풍수과학

풍수지리는 자연공간에 흘러 다니는 공기 즉, 바람 기운을 해석해 인간의 모든 생활영역에 접목함으로써 피흉취길(避凶就吉)하려는 학문 분야다. 풍수지리설의 이론은 크게 죽은 사람들을 묻는 터나 납골 공간을 정하는 음택(陰宅)과 살아있는 사람들의 생활에 필요한 제반적 공간을 선정하는 양택(陽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풍수지리는 인간의 생로병사와 흥망성쇠에 관한 환경결정론으로 해석되는 만큼 풍수이론을 접목한 현대 학문의 분야는 건축학, 생태학, 지리학, 조경학, 고고학 등 다방면으로 넓어지는 추세다.

명당을 찾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간룡법(看龍法)·장풍법(藏風法)·득수법(得水法)·정혈법(定穴法)·좌향론(坐向論) 등이 있다. 간룡법은 조사대상으로 보이는 전체적인 산의 변화와 땅의 상태를 관찰해 좋고 나쁨을 가리고, 장풍법은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을 기준으로 주변 바람의 모임과 흩어짐의 상태를 살핀다. 득수법은 물의 존재와 흐름 상태를 보아 이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정혈법은 지반의 안정된 기운이 모여 있는 혈(穴, 사람에게 유익함을 주는 땅과 바람의 정기가 모인 곳) 자리를 선정하는 이론이다. 좌향론에서는 목적대상의 방위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위의 5가지 법칙을 적용해 터를 선정하는 이유는 그 터에서 예측되는 좋고 나쁨의 기운을 가려 보다 좋은 기운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풍수지리적 명당기운 구조로 평가하는 땅에는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는 지세인 배산임수(背山臨水) 지형과 산과 물길에 둘러싸여 부드러운 바람이 자연스럽게 모이는 장풍포수(藏風抱水) 지형이 있다. 풍수지리에서 다루는 땅과 물 그리고 바람 속에는 산소, 질소, 인, 칼륨 등 다양한 기초원소를 비롯해 많은 물질이 함유돼 있다. 따라서 공기의 움직임인 바람의 이동은 곧 물질의 이동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명당기운 구조는 바람이 모이는 장풍의 조건을 전제로 하는데, 이때 장풍의 상태는 공기에 들어 있는 물질들이 모여 있는 원리와 같다. 명당 구조에서 공기 중의 물질은 적정한 온도상태를 유지하는 기운으로 생활에 도움을 주는 동조에너지로 평가하는데, 이는 나쁜 영향을 주는 냉한 기운의 간섭에너지에 비해 주변의 기압이 높고 쾌적함이 유지되는 기운이다.

좋은 기운의 땅이 가진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첫째 조사대상 땅의 견밀도(토양의 수분 상태에 따른 딱딱하거나 치밀한 정도)가 높아 지반이 무너지지 않고, 냉한 바람과 냉수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되며 평균 지온의 변화가 크지 않는 건강한 장소여야 한다. 둘째 대상지 주변의 지형, 지세가 울타리 담장 역할을 하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공간이 있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의 속도를 줄일 수 있는 공간 장치가 있다. 셋째 물길이 사방을 둘러싸서 흐르거나 모여들 수 있는 주변 여건이 만들어져 있어 신선한 공기의 순환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추고 있으면서 일조량이 장시간 유지돼 적정온도가 유지되는 곳이어야 한다. 

 

풍수지리 미신 아닌 과학적 이론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