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진화 인류에게 도덕적 진화도 가능할까
상태바
생물학적 진화 인류에게 도덕적 진화도 가능할까
  • 이상헌
  • 승인 2021.03.22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랜스휴머니즘과 불국정토

자연의 운명에 맞선 역사

죽음, 무지, 고통은 자연이 인간에게 부과한 운명이다. 그러나 인류는 문명을 이루며 자연의 운명에 맞섰다. 인류 문명의 역사는 어찌 보면 자연이 우리를 가둔 운명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욕망을 실현해나가는 과정이다. 인류는 먼저 자연으로부터 자신을 분리했다. 자연이 부과한 죽음과 무지, 고통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간 자신을 자연과 분리하는 게 필요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철학이 그 시초였다. 그 이후의 역사적 과정은 자연으로부터 인간을 더욱 철저히 분리하고, 자연적인 것과 다른 인간적인 것을 정립하는 과정이었다. 근대에 들어서면 자연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은 서로 대립하는 개념이 된다. 인류가 죽음을 극복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생각해 낸 것이 초자연이다. 초자연의 영역을 만들어내고 초자연적인 힘에 의지함으로써 인류는 자연의 운명인 죽음을 극복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종교는 자연적 죽음 이후에 또 다른 삶이 있다고 약속함으로써 인간이 죽음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게 한다. 

인류는 언어를 매개로 사고하고 소통하는 지상 유일의 존재다. 언어 덕분에 인간은 자연적 존재로서의 삶뿐만 아니라 정신적 존재로서의 삶도 살 수 있게 됐다. 인간은 정신 혹은 마음의 산물을 통해 자연적 죽음 이후에도 살아남을 수 있다. 또 언어 덕분에 인간은 자연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고, 나아가 학문으로 체계화해 후대에 전승할 수 있었다. 인간은 세상에 등장한 이래 줄곧 자연에 대한 지식을 확장해왔다. 과학적 지식의 성장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류에게 고통을 준 수많은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발견했다. 과학혁명과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인류는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가속해왔다. 그 결과 인간은 자연이 제공한 삶의 터전보다 스스로 만든 것을 삶의 터전으로 삼았고, 오늘날 대부분 도시에서 거주하고 생활한다. 

자연이 인간에게 가한 제약을 벗어나려는 노력은 자연 밖에서 독자적인 삶의 영역을 구축하는 데 집중됐다. 하지만 아무리 과학과 기술이 발전했어도 인류는 자연이 부과한 운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문명의 길로 들어선 이후 지난 1만 년의 시간 동안 인류가 이루어낸 것은 자연의 한계 속에서 자연적 운명을 조금 순하게 만드는 데 그쳤다. 평균 수명을 크게 연장했으며 자연과 인간 자신에 대해 점점 더 많은 것을 알게 됐고, 질병의 고통도 크게 완화했다. 그렇지만 우리는 채 100년을 살지 못하며, 자연과 우리 자신에 대해 모든 것을 알 수는 없다. 육체와 정신적 고통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 그런데 최근 새로운 시각으로 이전과는 다른 시도를 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바로 자연의 한계를 벗어나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과학과 기술의 힘을 빌려 인류가 그동안 운명이라고 생각했던 자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네 번째 불연속의 극복으로 향하는 길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의 역사학과 교수인 브루스 매즐리시(Bruce Mazlish)는 『네 번째 불연속: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라는 책에서 그동안 인간이 상상한 네 가지 불연속을 언급하고 근대 이후 인간의 역사가 이 불연속들을 극복하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매즐리시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입문」(1915~1917년) 여덟 번째 강의에 기대어 인류가 지금까지 세 가지 불연속을 극복하는 경험을 했으며, 지금 네 번째 불연속을 극복하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