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붓다] 우리가 정말 함께 살 수 있을까? 양혜규–O2 & H2O
상태바
[상상붓다] 우리가 정말 함께 살 수 있을까? 양혜규–O2 & H2O
  • 마인드디자인(김해다)
  • 승인 2021.02.26 1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현대미술관 'MMCA 현대차 시리즈 2020: 양혜규–O2 & H2O' 전시 리뷰
<MMCA 현대차 시리즈 2020 양혜규–O2 & H2O> 전시 전경. 
<침묵의 저장고–클릭된 속심> 내부에서 촬영한 사진. 사진 홍철기.

서울에서 하는 전시를 보려면 바다를 건너와야만 하는 필자는 종종 친구와 함께 전시를 보러 가곤 한다. 한정된 시간 안에 전시도 보고 친구도 만나려면 그 두 가지를 합쳐야 할 때가 있기 때문이다. 작년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렸던 <MMCA 현대차 시리즈 2020: 양혜규‐O2 & H2O> 전시도 한 친구와 함께 보러 갔다. 외국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몇 년간 무탈한 결혼생활을 하다 한국으로 돌아와 뒤늦게 고부갈등을 겪고 있는 친구였다. 외국에서 멀리 떨어져 살 때는 몰랐는데 시댁은 가족의 단합이 굉장히 중요한 집안이었고, 이에 이런저런 어려움이 있는 듯했다. 평생 다른 삶을 살아온 사람들과 한 가족이 되는 일이 며느리 입장에서도, 시어머니 입장에서도 쉬울 리 없으리라. 가족과 가족 아닌 이를 가르는 경계가 얼마나 견고할 수 있는지에 관해 이야기하며 전시장에 입장한 탓일까? 양혜규 작품이 지닌 여러 중요한 지점들이 고부갈등이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서사 안에서 읽히는 아주 재미난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가족/남, 남/가족

전시는 154개에 달하는 블라인드로 제작된 원통형 구조물 <침묵의 저장고 – 클릭된 속심>(2017)과 함께 시작됐다. 시야를 가리고 몸의 움직임은 막아서지만 그 틈으로 빛, 소리, 냄새 등 비물질의 넘나듦을 허용하는 블라인드의 물성을 활용한 설치작업군이 양혜규의 대표적 작품 유형이다. 이 블라인드 구조물은 크게 두 겹으로 이루어졌는데, 고정된 검은색 외피와 천천히 회전하는 푸른색 내피가 시시각각 변화하며 ‘열림’과 ‘닫힘’의 순간을 생성해내고 있었다. 나와 타인을 가르는 경계가 이와 같다고 상상해보면 어떨까. 벽돌을 쌓아 만든 단단한 담벼락이 아니라 언제든지 휘어지고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벽 너머를 느낄 수 있는 ‘움직이는 블라인드 구조물’ 정도로 말이다. 이런 식이라면 나와 내가 살아온 삶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고도 타인과 공존이 가능해지면서 완전히 화합한 내 ‘가족’ 아니면 ‘남’이라는 잔혹한 분별을 고수하지 않아도 될 텐데.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