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왕족의 청춘은 글공부보다 무예 연마
상태바
[싯다르타] 왕족의 청춘은 글공부보다 무예 연마
  • 심재관
  • 승인 2021.02.24 18: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석가족 태자의 교육

후대에 만들어진 전설적인 붓다의 전기는 싯다르타의 젊은 시절, 그러니까 왕실에서 배웠을 법한 교육내용을 꽤 그럴듯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때때로 역사적 사실처럼 받아들여졌고 신앙 속에서 하나의 사실로 자리 잡은 듯 보인다. 그러나 싯다르타의 ‘역사적 일생’이 우리에게 정확히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 인도 고대사에서 석가모니의 시대는 우리가 연구할 수 있는 거의 최고층 역사에 해당하며 석가모니 당시 생활상을 그려볼 수 있는 고고학적 단서는 매우 희박하다. 그 이전의 베다 시대는 더 말할 나위 없거니와, 싯다르타가 어떤 교육을 받았는가에 대한 실증적 단서는 제로에 가깝다. 그렇지만 후대에 창작된 싯다르타의 젊은 날에 대한 기록은 되새겨볼 만하다. 비록 상상력에 의한 창작이지만 때때로 상상력은 신앙심을 살찌게 하기 때문이다.

 

싯다르타는 베다를 학습했을까

이 질문은 당연히 그럴듯하게 들릴 수 있지만, 가능성은 거의 없다. 싯다르타가 고대 힌두교의 지식체계인 베다를 학습했는가는 몇 가지 전제에 대한 의문이 풀려야 대답할 수 있다. 첫째로 그가 살았던 카필라바스투의 주변 지역이 그 당시 이미 완전히 힌두화된 사회로 정착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왕족인 싯다르타가 익혀야 할 교양 지식으로 베다가 선택되었다는 것은 이미 브라만교(베다 경전을 근거로 성립된 종교, 바라문교로 한역하기도 함)의 종교적인 권위와 지식체계가 그 지역 사회에 완전히 수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마가다 지역에 브라만교가 얼마나 완전히 정착되었는가에 대한 정황은 불확실하며, 가능성도 희박하다. 

두 번째는 브라만교 자체가 가지고 있는 매우 폐쇄적인 베다의 교육체계가 얼마나 개방적으로 변화했는가를 고려해야 한다. 브라만교의 종교의식이나 지식체계는 의외로 상당히 복잡하고 전승이 까다롭다. 이것이 다른 가문이나 부족, 또는 다른 계급에 전해지기 매우 어려운 구조를 갖는다. 적어도 크샤트리야 계급인 싯다르타가 베다를 배울 수 있을 정도로 브라만교의 지식 전승 구조가 매우 개방적으로 바뀌었는가는 매우 강한 의문을 남긴다. 위의 전제들이 다 해소되었다 하더라도 싯다르타가 누구에게서 언제 어떤 베다를 배웠는가 하는 점이 다시 의문으로 남는다. 

매우 후대에 창작된 붓다의 설화 속에는 싯다르타가 어린 시절 베다 수업을 받았던 것으로 묘사된다. 예컨대 싯다르타가 어려서 삼명(三明)에 밝았다고 전하고 있다. 삼명은 세 가지 지식을 말하며, 세 가지 베다인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 등을 가리킨다. 그렇지만 베다 전통에 조금만 익숙한 사람이라면 이것이 얼마나 당혹스러운 말인가를 알게 될 것이다. 각각의 베다는 각 베다의 전승을 맡은 가문에 따라 독립적으로 전승되며, 그 교육의 내용과 기간이 오래 소요되기 때문이다. 각각의 베다에 속하는 가문들끼리 자신들의 베다 내용을 서로 교차해서 가르치거나 혼합시킬 가능성은 거의 없다. 

 

고대 인도 사회에서 지식 유통

후대의 브라만 전통에 따르면, 학생기의 생활은 10여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자신의 부모와 단절된 채 교육받아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물론 자신의 집과 스승의 학교는 그렇게 멀리 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전통적으로 베다 교육에 입문한다는 것은 규정된 입문식을 거쳐 스승과 함께 거주하며 수년에서 십 수년간 베다의 내용을 암송하고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한마디로 위탁 교육이라 할 수 있는데, 입문한 제자는 스승과 숙식을 같이하면서 그를 보살피고 때때로 스승을 위해 탁발하는 의무도 있었다. 이러한 교육방식이 구체화 되기 시작한 것은 베다 후기시대인 대략 기원전 800~900년경쯤으로 추정하기 때문에 불교가 등장할 무렵에는 확실히 이러한 교육방식이 공고화되었으리라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거의 전적으로 브라만들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다. 

본래 이러한 교육방식이 시작된 이유는 초기 베다 시대에 만들어졌던 베다의 찬양시나 만뜨라들이 결집되고 정형화되면서, 이를 후대에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전승해야 할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처음에는 특정 집안의 아버지로부터 아들에게 전승되었던 것들이, 여러 가문의 찬양시나 만뜨라가 함께 결집된 이후에는 엄격하게 공인된 교육체계를 통해 안전하게 확산할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된 것이다. 이것이 바로 브라마짜리야(Brahmacārya)라고 부르는 교육체계의 등장이었다.

지식의 유통을 고려했을 때, 브라마짜리야라고 부르는 이 베다의 교육체계는 상당히 폐쇄적이고 독점적이었다. 이들이 전하고자 하는 베다의 지식은 신비스러운 것이며 인가된 가문의 자손들에게만 허락되었다. 더구나 이 지식은 후기 베다 시기에 더 정교하고 방대해진 베다의 의례들을 통해 브라만들의 직업적 소양으로 발전하게 된다. 베다의 의례는 고대 인도인들의 일상적 삶에서 거의 분리되지 않으며 많은 의례는 전문적인 사제들의 도움을 통해 치러졌다. 그들이 오랜 기간을 통해 암기한 베다의 찬양시들이나 주문들은 수많은 제사를 치르는 과정에서 그들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들의 지식은 고대 인도사회에서 브라만들의 독점적 지위를 공고히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