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본성·한계의 인류 해방학
상태바
고통·본성·한계의 인류 해방학
  • 이상헌
  • 승인 2021.03.04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랜스휴머니즘과 불국정토]

‘불확실성’이라는 단어보다 우리 시대를 잘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없을 듯하다. 근대정신의 핵심인 개인의 자유 증진으로 세상은 광범위하게 다양성을 수용하고, 일반화된 상대주의는 하나의 지배적인 가치를 떠올리기 어렵게 했다. 과학기술은 발전을 가속하고 그 성과를 유례없이 신속하게 현실에 적용하면서 인류 문명과 인간 생활에 대한 지배력을 날로 키워가고 있다.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인류의 가까운 미래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게 만드는 데 힘을 보태고 있다.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의 시대, 혹은 기술지배의 시대에 불교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믿음이 이 연재를 기획한 동기다. 세상의 어떤 종교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이며, 과학기술에 대해서도 친화적인 불교에서 불확실성의 세계, 혼돈의 세상에서 방향을 찾을 단서 하나를 발견하는 것이 연재의 목표다. 21세기를 지배할 신생 기술을 통해 인류 발전과 인간 진화를 꿈꾸는 트랜스휴머니스트들 가운데 불교 신도들이 있다. 그들을 중심으로 불교와 트랜스휴머니즘을 결합하려고 시도하는 연구자 무리가 생겼다. 이른바 ‘불교적 트랜스휴머니즘’이다. 이것이 이 연재를 기획하게 된 또 하나의 동기다. 연재에서는 주로 트랜스휴머니즘과 서양 사상과 비교하며 불교적 가르침의 참뜻을 되새겨볼 것이다. 

 

트랜스휴머니즘과 도덕 공학

“우리는 인간성에 내재한 잠재력이 대부분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고 믿는다.” 

이 말은 ‘트랜스휴머니스트 선언문’에 포함된 문장으로 트랜스휴머니즘 정신을 잘 드러낸다.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트랜스휴머니즘은 과학기술에 의존해 우리가 더 나은 인간,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믿는 지적인 운동이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국내에서 융합기술로 지칭되며 언론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언급되었던 최첨단 기술들의 힘을 빌리면 인류의 새로운 진화 단계가 열린다고 믿는다. 기술을 통해 진화한 새로운 인류는 포스트휴먼(posthuman)이라고 한다. 

포스트휴먼 논의는 국내에서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진행 중이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인류 미래상을 추론하는 낙관적 전망과 비관적 예측이 엇갈리는 상황 속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철학은 미래 예견을 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포스트휴먼 논의에 철학자들의 참여는 거기에 미래학적인 문제가 아니라 철학적인 문제가 있음을 말해준다. 포스트휴먼 담론은 근본적으로 인간에 대한 물음에 관련한다. 전통적으로 우리가 이해해온 인간성(humanity)을 넘어선 ‘새로운 인간성(posthumanity)’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인간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어떻게 변경해야 하는가? 인류가 더 나은 존재가 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 새로운 과학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정말 가능할 것인가? 

다양성과 상대성을 보편적 가치의 기준처럼 생각하는 오늘날의 세계는 과학기술에 대한 인류의 의존을 더욱 가속하고 있다. 덩달아 삶의 방식과 가치 결정에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 과학기술의 발전과 적용 속도가 상상을 초월한다. 세계는 가까운 미래도 예측하기 힘들 만큼 불확실한 세상으로 바뀌고 있으며, 과거처럼 하나의 지배적 가치가 아닌 다양한 가치가 혼재하며 충돌하고 갈등하는 세상이 되고 있다. 필자는 지금 우리가 과거 서양에서 중세가 몰락하고 근대적 세계가 등장할 무렵 지식인들이 직면한 물음에 다시 마주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가? 이 물음에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답변을 제시한다. 

 

트랜스휴머니즘이란 무엇인가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